아동문학계 최대 상금 규모를 자랑하는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을 한국 작가 중 처음 받은 백희나(49)는 인기 작가임에도 제대로 경제적 보상을 못 받은 대표적인 작가로 꼽힙니다.
2004년 출간한 대표작 '구름빵'은 2005년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에서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상'을 안겼고 이후 세계 각국에 수출돼 현재까지 약 45만 부가 팔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게 끝이 아니라 애니메이션, 뮤지컬, 캐릭터 상품 등 2차 콘텐츠로 가공돼 수천억 원의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하지만 정작 작가 본인한테 배당된 경제적 수익은 미미했습니다. 백희나가 2003년 신인 시절 저작권을 인정받지 못하는 '매절(買切)' 계약을 하는 바람에 인세 수입 등을 포함해 1천850만 원을 받은 게 전부입니다.
'구름빵'은 '원 소스 멀티 유즈'의 모범적 대표 사례로 남았지만, 저자 백희나는 메가 히트에도 금전적 보상을 제대로 받지 못한 작가의 대표 사례로 기록되는 아이러니였습니다.
백희나는 해당 출판사인 한솔교육, 한솔수북 등을 상대로 저작권 소송을 걸었지만 1심과 2심 모두 패소했고, 최근 상고해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는 중입니다.
다만 작가 본인도 결과를 그리 낙관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신인 작가가 불리한 저작권 관행에 그저 경종을 울렸으면 하는 심정에서 소송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는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어차피 승산이 있어서 시작한 싸움이 아니었다. 신인 작가들에 저작권 계약 조건이 너무 불리하다는 것을 알리려고 한 일"이라며 "계란으로 바위 치기인 것을 알면서도, 이런 일들이 만연하다는 걸 알리고 싶어서 소송을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오랫동안 가슴앓이를 한 백희나에게 '삐삐 엄마'가 뜻밖의 선물을 안겨줬습니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은 세계적인 캐릭터 '말괄량이 삐삐'를 탄생시킨 스웨덴 여성 동화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1907~2002)을 기리고자 2002년 제정한 상이기 때문입니다.
린드그렌이 1945년 펴낸 '삐삐 롱스타킹'은 세계적 베스트셀러로 기록된 명작동화로 영화와 TV 드라마, 그리고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됐습니다. 백희나도 어린 시절 주근깨 말괄량이 소녀 삐삐처럼 살고 싶었습니다. 삐삐를 닮은 소녀가 어른이 돼서 삐삐 엄마로부터 큰 위로를 받은 셈입니다.
이 '삐삐 롱스타킹'은 1970년대 KBS를 통해 '말괄량이 삐삐'라는 제목으로 드라마가 상영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도 했습니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은 아직 역사도 짧고 '아동문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볼로냐 라가치상이나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의 권위에는 못 미치나 상금이 500만 크로나(약 6억 원)에 달해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백희나는 '마당을 나온 암탉'의 황선미 등과 함께 세계적으로 알려진 한국의 대표적 동화작가입니다. '달 샤베트', '장수탕 선녀님', '알사탕', '팥죽할멈과 호랑이' '북풍을 찾아간 소년', '분홍줄' 등 많은 히트작을 남겼습니다.
이화여대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고 미국 캘리포니아예술학교(칼아츠)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한 일러스트레이터입니다. 그래서 작업 방식도 다른 그림책 작가들과는 좀 다릅니다. 그림을 그리는 대신 인형과 소품, 세트를 직접 만들고 조명까지 곁들여 하나의 무대를 연출한 뒤 사진을 찍습니다.
이런 신선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탄생한 첫 작품이 훗날 명작으로 남은 '구름빵'입니다. 비 오는 날 구름 반죽으로 만든 빵을 먹은 고양이 남매가 두둥실 하늘로 떠올라 아침을 거른 채 출근한 아빠에게 구름빵을 가져다준다는 가족애 넘치는 내용입니다.
보통 이런 큰 상을 받으면 출판사도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하지만, '구름빵' 저작권을 보유한 한솔 측은 작가와 소송 중인 상황을 고려해 그럴 계획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백희나는 한솔 측과 분쟁이 시작된 이후 주로 도서출판 '책읽는곰'을 통해 작품을 발표해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2004년 출간한 대표작 '구름빵'은 2005년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에서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상'을 안겼고 이후 세계 각국에 수출돼 현재까지 약 45만 부가 팔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게 끝이 아니라 애니메이션, 뮤지컬, 캐릭터 상품 등 2차 콘텐츠로 가공돼 수천억 원의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하지만 정작 작가 본인한테 배당된 경제적 수익은 미미했습니다. 백희나가 2003년 신인 시절 저작권을 인정받지 못하는 '매절(買切)' 계약을 하는 바람에 인세 수입 등을 포함해 1천850만 원을 받은 게 전부입니다.
'구름빵'은 '원 소스 멀티 유즈'의 모범적 대표 사례로 남았지만, 저자 백희나는 메가 히트에도 금전적 보상을 제대로 받지 못한 작가의 대표 사례로 기록되는 아이러니였습니다.
백희나는 해당 출판사인 한솔교육, 한솔수북 등을 상대로 저작권 소송을 걸었지만 1심과 2심 모두 패소했고, 최근 상고해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는 중입니다.
다만 작가 본인도 결과를 그리 낙관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신인 작가가 불리한 저작권 관행에 그저 경종을 울렸으면 하는 심정에서 소송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는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어차피 승산이 있어서 시작한 싸움이 아니었다. 신인 작가들에 저작권 계약 조건이 너무 불리하다는 것을 알리려고 한 일"이라며 "계란으로 바위 치기인 것을 알면서도, 이런 일들이 만연하다는 걸 알리고 싶어서 소송을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오랫동안 가슴앓이를 한 백희나에게 '삐삐 엄마'가 뜻밖의 선물을 안겨줬습니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은 세계적인 캐릭터 '말괄량이 삐삐'를 탄생시킨 스웨덴 여성 동화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1907~2002)을 기리고자 2002년 제정한 상이기 때문입니다.
린드그렌이 1945년 펴낸 '삐삐 롱스타킹'은 세계적 베스트셀러로 기록된 명작동화로 영화와 TV 드라마, 그리고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됐습니다. 백희나도 어린 시절 주근깨 말괄량이 소녀 삐삐처럼 살고 싶었습니다. 삐삐를 닮은 소녀가 어른이 돼서 삐삐 엄마로부터 큰 위로를 받은 셈입니다.
이 '삐삐 롱스타킹'은 1970년대 KBS를 통해 '말괄량이 삐삐'라는 제목으로 드라마가 상영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도 했습니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은 아직 역사도 짧고 '아동문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볼로냐 라가치상이나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의 권위에는 못 미치나 상금이 500만 크로나(약 6억 원)에 달해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백희나는 '마당을 나온 암탉'의 황선미 등과 함께 세계적으로 알려진 한국의 대표적 동화작가입니다. '달 샤베트', '장수탕 선녀님', '알사탕', '팥죽할멈과 호랑이' '북풍을 찾아간 소년', '분홍줄' 등 많은 히트작을 남겼습니다.
이화여대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고 미국 캘리포니아예술학교(칼아츠)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한 일러스트레이터입니다. 그래서 작업 방식도 다른 그림책 작가들과는 좀 다릅니다. 그림을 그리는 대신 인형과 소품, 세트를 직접 만들고 조명까지 곁들여 하나의 무대를 연출한 뒤 사진을 찍습니다.
이런 신선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탄생한 첫 작품이 훗날 명작으로 남은 '구름빵'입니다. 비 오는 날 구름 반죽으로 만든 빵을 먹은 고양이 남매가 두둥실 하늘로 떠올라 아침을 거른 채 출근한 아빠에게 구름빵을 가져다준다는 가족애 넘치는 내용입니다.
보통 이런 큰 상을 받으면 출판사도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하지만, '구름빵' 저작권을 보유한 한솔 측은 작가와 소송 중인 상황을 고려해 그럴 계획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백희나는 한솔 측과 분쟁이 시작된 이후 주로 도서출판 '책읽는곰'을 통해 작품을 발표해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