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20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첫 환자 발생 이후 한 달 가량이 흐른 오늘(18일) 현재까지 방역 당국은 비교적 성공적으로 코로나19를 막아냈다고 자평합니다.
그렇지만 일본과 싱가포르, 홍콩 등 우리나라와 교류가 많은 이웃 국가들에서 역학적 연결고리를 알 수 없는 지역사회 감염사례가 잇따르는 데다, 중국에서 춘제(중국의 설) 연휴 후 인구이동 등으로 언제든 국내서 2차 유행이 벌어질지 모르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서도 해외여행 이력이나 확진자와의 접촉 이력 등이 불명확한 환자 사례가 나오면서 자칫 국내서도 지역사회 전파나 병원 내 감염이 확산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어제(17일) 오후 5시 기준 국내 확진자는 30명입니다. 특히 이 중에서 10명(1·2·3·4·7·8·11·17·22·28번 환자)은 완치돼 격리에서 해제되고 퇴원해 일상으로 돌아갔습니다.
방역당국이 격리해제, 퇴원을 검토하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더 있기에 앞으로 완쾌 판정을 받아 병원문을 나서는 사례는 계속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치료 중인 환자도 특이사항 없이 주관적인 증상도 호전되는 등 대부분 상태가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코로나19의 진원지인 중국에서 여전히 환자와 사망자가 쏟아지고, 전 세계에서 환자가 속출하는 상황과는 비교되는 대목입니다.
이렇게 우리 방역 당국이 최초 유행국가인 중국으로부터 감염전파를 나름대로 차단하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던 것은 2015년 5월 메르스 사태 위기 극복과정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방역업무에 힘쓰고, 게다가 의료현장 일선에서 의료기관과 보건소, 의료진 등이 자율적, 헌신적으로 코로나19 방지에 노력한 게 맞물린 덕분으로 평가됩니다.
국내에서도 그제(16일)과 어제(17일) 이틀에 걸쳐 국외 위험지역을 다녀오지도, 확진자와 접촉하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진 부부 환자 2명(29번 환자, 30번 환자)이 발생하면서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된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방역 당국은 해외 유입 환자와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된 사례를 찾는 등 '감염원'을 추적해서 감염원을 찾지 못하면 '지역사회 감염'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특히 82살의 29번 환자는 증상 발현 후 확진 전까지 병원 3곳을 9차례 방문했던 것으로 확인돼 병원 내 감염병 전파 가능성마저 제기됐습니다.
병원의 특성상 감염병이 확산했을 때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기에 방역 당국이 가장 걱정하는 시나리오입니다.
메르스 사태 때도 전체 환자 186명 중에서 172명(92.5%)이 병원에서 감염됐습니다.
어디서, 어떻게 감염됐는지 구체적인 경로가 확인되지 않으면 국내 지역사회 전파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서 입국자와 접촉자 격리, 관리에 집중하는 현재의 방역체계 개편은 불가피해집니다.
이에 대해 방역 당국은 아직은 심층적인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어제(17일) 브리핑에서 "29번째 환자가 '지역감염이다'라고 현재 단정하고 있지는 않다"며 "감염원과 감염경로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렇게 역학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최종 판단을 유보하긴 했지만, 감염경로가 확실하지 않은 확진자가 국내 등장한 데 대해 정부는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에 선제로 대비할 필요성을 느끼고 대응 태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보건복지부 차관)은 어제(17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코로나19가 지역사회로 확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내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으나, 최근 상황은 더욱 긴장이 필요한 시기"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코로나19가 증상이 경미한 상태에서도 전파가 잘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국내 지역사회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내고 이를 지연시키는 한편, 지역사회로 전파되는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유행의 규모와 여파를 줄이는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현시점에서의 적절한 방역 관리대책"이라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전문가들도 우리 주변의 여러 국가에서 감염 원인과 경로를 알 수 없는 지역사회 감염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고, 유행국가 출신 유학생들의 입국과 등교 등으로 안심할 단계가 아니라며 잠재적인 2차 유행과 지역사회 유행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습니다.
현재 확진자와 접촉자 관리 중심의 방역 대책을 넘어서 상당 기간 지속할 감염위험에 맞서 좀 더 치밀하고 체계적인 방역 대책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한감염학회와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대한항균요법학회 등은 코로나19 대정부 공동 2차 권고안에서 "코로나19의 질병 특성은 사스나 메르스보다 독성에서는 덜 하지만 감염전파력은 더 높아서 방역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따라서 지역사회와 의료기관 내 슈퍼 전파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포괄적인 방역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지자체는 확진자와 접촉자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의료시설과 격리시설, 인적 자원 동원 등 행정적인 업무를 맡고, 질병관리본부는 방역 자체에 집중할 수 있는 역할 분담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이들 학회는 지적했습니다.
또 국내에서 역학 고리가 미궁인 환자자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철저한 방역망을 구축하고 설혹 발생하더라도 즉각 대응할 수 있게 감염병 역학 전문가 단체와 선제 대응 전략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정부도 앞으로 국외에서 환자 유입을 차단하는 전략과 함께 지역사회 감염관리에도 힘쓰는 투트랙 방역 전략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정은경 본부장은 "지난 1월 20일 첫 확진 환자가 생긴 이후에 지난 한 달간 코로나19 유입을 차단하고 접촉자를 통제하는 방역 활동을 했다면, 앞으로는 이런 유입차단전략을 지속하면서도 의료기관 감염사례를 최대한 막고 지역사회 감염확산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방역전략을 가동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의료계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서 환자를 조기 발견해 조기 진단하고, 적정 치료해 피해를 줄인다는 방침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그렇지만 일본과 싱가포르, 홍콩 등 우리나라와 교류가 많은 이웃 국가들에서 역학적 연결고리를 알 수 없는 지역사회 감염사례가 잇따르는 데다, 중국에서 춘제(중국의 설) 연휴 후 인구이동 등으로 언제든 국내서 2차 유행이 벌어질지 모르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서도 해외여행 이력이나 확진자와의 접촉 이력 등이 불명확한 환자 사례가 나오면서 자칫 국내서도 지역사회 전파나 병원 내 감염이 확산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어제(17일) 오후 5시 기준 국내 확진자는 30명입니다. 특히 이 중에서 10명(1·2·3·4·7·8·11·17·22·28번 환자)은 완치돼 격리에서 해제되고 퇴원해 일상으로 돌아갔습니다.
방역당국이 격리해제, 퇴원을 검토하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더 있기에 앞으로 완쾌 판정을 받아 병원문을 나서는 사례는 계속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치료 중인 환자도 특이사항 없이 주관적인 증상도 호전되는 등 대부분 상태가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코로나19의 진원지인 중국에서 여전히 환자와 사망자가 쏟아지고, 전 세계에서 환자가 속출하는 상황과는 비교되는 대목입니다.
이렇게 우리 방역 당국이 최초 유행국가인 중국으로부터 감염전파를 나름대로 차단하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던 것은 2015년 5월 메르스 사태 위기 극복과정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방역업무에 힘쓰고, 게다가 의료현장 일선에서 의료기관과 보건소, 의료진 등이 자율적, 헌신적으로 코로나19 방지에 노력한 게 맞물린 덕분으로 평가됩니다.
국내에서도 그제(16일)과 어제(17일) 이틀에 걸쳐 국외 위험지역을 다녀오지도, 확진자와 접촉하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진 부부 환자 2명(29번 환자, 30번 환자)이 발생하면서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된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방역 당국은 해외 유입 환자와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된 사례를 찾는 등 '감염원'을 추적해서 감염원을 찾지 못하면 '지역사회 감염'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특히 82살의 29번 환자는 증상 발현 후 확진 전까지 병원 3곳을 9차례 방문했던 것으로 확인돼 병원 내 감염병 전파 가능성마저 제기됐습니다.
병원의 특성상 감염병이 확산했을 때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기에 방역 당국이 가장 걱정하는 시나리오입니다.
메르스 사태 때도 전체 환자 186명 중에서 172명(92.5%)이 병원에서 감염됐습니다.
어디서, 어떻게 감염됐는지 구체적인 경로가 확인되지 않으면 국내 지역사회 전파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서 입국자와 접촉자 격리, 관리에 집중하는 현재의 방역체계 개편은 불가피해집니다.
이에 대해 방역 당국은 아직은 심층적인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어제(17일) 브리핑에서 "29번째 환자가 '지역감염이다'라고 현재 단정하고 있지는 않다"며 "감염원과 감염경로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렇게 역학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최종 판단을 유보하긴 했지만, 감염경로가 확실하지 않은 확진자가 국내 등장한 데 대해 정부는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에 선제로 대비할 필요성을 느끼고 대응 태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보건복지부 차관)은 어제(17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코로나19가 지역사회로 확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내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으나, 최근 상황은 더욱 긴장이 필요한 시기"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코로나19가 증상이 경미한 상태에서도 전파가 잘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국내 지역사회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내고 이를 지연시키는 한편, 지역사회로 전파되는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유행의 규모와 여파를 줄이는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현시점에서의 적절한 방역 관리대책"이라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전문가들도 우리 주변의 여러 국가에서 감염 원인과 경로를 알 수 없는 지역사회 감염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고, 유행국가 출신 유학생들의 입국과 등교 등으로 안심할 단계가 아니라며 잠재적인 2차 유행과 지역사회 유행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습니다.
현재 확진자와 접촉자 관리 중심의 방역 대책을 넘어서 상당 기간 지속할 감염위험에 맞서 좀 더 치밀하고 체계적인 방역 대책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한감염학회와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대한항균요법학회 등은 코로나19 대정부 공동 2차 권고안에서 "코로나19의 질병 특성은 사스나 메르스보다 독성에서는 덜 하지만 감염전파력은 더 높아서 방역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따라서 지역사회와 의료기관 내 슈퍼 전파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포괄적인 방역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지자체는 확진자와 접촉자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의료시설과 격리시설, 인적 자원 동원 등 행정적인 업무를 맡고, 질병관리본부는 방역 자체에 집중할 수 있는 역할 분담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이들 학회는 지적했습니다.
또 국내에서 역학 고리가 미궁인 환자자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철저한 방역망을 구축하고 설혹 발생하더라도 즉각 대응할 수 있게 감염병 역학 전문가 단체와 선제 대응 전략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정부도 앞으로 국외에서 환자 유입을 차단하는 전략과 함께 지역사회 감염관리에도 힘쓰는 투트랙 방역 전략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정은경 본부장은 "지난 1월 20일 첫 확진 환자가 생긴 이후에 지난 한 달간 코로나19 유입을 차단하고 접촉자를 통제하는 방역 활동을 했다면, 앞으로는 이런 유입차단전략을 지속하면서도 의료기관 감염사례를 최대한 막고 지역사회 감염확산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방역전략을 가동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의료계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서 환자를 조기 발견해 조기 진단하고, 적정 치료해 피해를 줄인다는 방침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