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말 기승을 부렸던 고농도 초미세먼지(PM-2.5)의 최대 69%는 중국 등 국외로부터 들어온 것으로 분석됐다.
미세먼지 때문에 실외 근무를 하는 아르바이트생들의 경우 큰 고통을 받았지만, 이들 중 불과 30%만 마스크 등 전용장비를 갖추고 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달 22~27일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지상과 위성자료, 대기질 모델링 결과 등을 통해 종합 분석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이 기간에 26∼27일 이틀 연속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됐다.
분석 결과 중국 등 국외 영향은 초반(3월 22∼24일) 58∼69%로 높았으나 후반(3월 25∼27일)에는 32∼51%로 낮아졌다.국외 영향은 22일 59%에서 23일 69%까지 올라 정점을 찍은 뒤 줄어들었다.
22일은 한국이 중국 상하이 부근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미세먼지가 북서기류를 타고 유입됐다. 23일 대기 정체를 겪은 뒤 24일엔 중국 상하이 부근 고기압이 남해상으로 이동하면서 남서기류가 들어왔다.
반면 25~27일 오전까진 서해상에 강한 남풍기류가 형성되면서 국외로부터 미세먼지 유입이 차단됐다. 대신 우리나라 내륙에 대기 정체가 발생하면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오래 지속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졌다.
한편 구인구직 사이트 잡코리아가 실외 아르바이트생 418명을 대상으로 근무시 애로사항을 설문조사 한 결과(복수 응답 가능), '미세먼지, 황사 등 나쁜공기'를 택한 응답자가 70.8%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마스크 등 안전방비를 갖추고 일하는 아르바이트생은 10명 중 3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절반 이상은 미세먼지 공습에도 뾰족한 대책 없이 근무를 하고 있었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응답자의 26.6%만이 '미세먼지 전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안전 대책을 갖추고 일한다'고 답했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은 실내에서 근무한다는 답변(8.4%)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그냥 평소처럼 근무한다'고 밝힌 아르바이트생은 52.2% 수준으로 절반 이상에 달했다. 스스로 마스크나 손수건으로 가리고 근무한다는 답변도 12.9%로 집계됐다.
하지만 당장 한 푼이 급한 학생들은 실외 아르바이트를 포기하기 쉽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실외 아르바이트의 급여가 실내 근무보다 조금 더 높기 때문이다.
[김제관 기자 / 이희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