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30대 여성 고용률이 역대 최고를 기록해 60% 문턱까지 갔습니다.
30대 여성 고용률 상승은 출산, 육아에 따른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이 줄어들고 만혼, 비혼 추세가 강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외국과 견줘 아직도 30대 여성 고용률이 낮은 터라 여성이 출산과 양육에도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30대 여성 고용률은 59.2%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올 상반기 30대 여성 고용률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9년 이래로 반기 기준으로 가장 높습니다.
30대 여성 고용률은 1999년 하반기 52.0%로 절반을 갓 넘는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후에도 오르긴 했지만, 상승 속도는 더뎌 2012년 하반기 55.1%로 13년간 3.1%포인트 오르는 데 머물렀습니다.
그나마 최근 고용률 상승세에 속도가 붙어 2014년 하반기 57.0%, 2016년 상반기 58.0%를 찍더니 올해 상반기엔 59%대까지 돌파했습니다.
월간 기준으론 지난 6월 59.8%로 월간 최고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30대 여성 고용률이 높아지는 데는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이 완화하고 만혼 추세가 강화하고 있는 영향이 큽니다.
정성미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혼인을 늦추거나 하지 않는 30대 여성이 많아지고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는 정책들이 계속 투입되며 30대 여성 고용률이 계속해서 높아지는 추세"라며 "특히 최근 30대 여성은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고용률이 회복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연령대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견줘 30대 여성 고용률은 아직 낮은 편입니다.
육아와 일을 병행하기 어려운 탓에 한국 여성 고용률 그래프를 그리면 다른 연령대와 견줘 30대만 푹 꺼지는 'M자 커브' 형태가 나타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고용률 70%를 넘는 국가 중에서 여성 고용률 M자 커브가 나타나는 곳은 한국과 일본뿐입니다.
30대 여성 고용률이 낮다 보니 전체 여성 고용률 수준도 높은 편이 아닙니다.
실제 2014년 기준으로 한국 여성의 고용률은 54.9%로 노르웨이(73.4%), 스웨덴(73.2%), 독일(69.5%), 영국(67.8%), 일본(63.6%)보다 크게 낮았습니다.
남성 고용률과의 격차도 20.8%포인트로 노르웨이(3.7%), 스웨덴(3.4%)의 5∼6배였습니다.
정 전문위원은 "아직도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 30대 여성 고용률은 낮은 편"이라며 "육아휴직 급여 인상 등 정부가 계속해서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는 정책을 펴면 여성의 고용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