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 당진 지역에서 살아남을 기업은 지금의 50% 미만이 될 수도 있다. 인구의 수도권 쏠림으로 기업들이 인재를 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면 당진지역에서도 글로벌 기업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5일 충남 당진군근로자복지회관에서 만난 김홍 충남당진산학융합본부 원장은 “인재를 확보하고 잡아둘 수 있느냐가 당진 지역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며 이처럼 밝혔다.
김 원장은 이같은 우려가 현실화되는 것을 막고 당진 지역 기업들을 세계적인 강소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3단계의 전략을 세웠다.
▲ 글로벌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들의 생존 전략 지원 ▲당진 출신 인재들이 당진에서 일할 수 있는 환경 ▲ 신성장산업의 생산 기지로 발돋움을 위한 네트워크가 그것이다.
그는 “당장 당진의 기업들에게 중요한 것은 생존”이라며 “현재 당진의 기업들은 내부적 관리만으로도 생존을 위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내부적 관리의 핵심은 오너의 ‘오른팔’이다. 오너의 경영철학에 공감하는 직원을 책임자 자리에 앉히고 나면 오너는 마음을 놓고 외부에서 영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오너의 오른팔이 끝까지 회사에 남아 있느냐이다. 당진의 주거환경이 열악해 기업 오너가 오른팔을 키워도 도심지에 일자리를 구하면 회사를 떠나는 게 다반사다. 김 원장은 인재가 당진을 떠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서대 신소재공학과·로봇자동차공학과·자동차ICT공학과가 당진산학융합지구로 이전하는 것을 추진했다. 당진에서 성장한 인재는 당진을 쉽게 떠나지 않을 것이란 생각에서다.
김 원장은 “올해 당진산학융합지구로 이전한 호서대 3개 학과의 신입생 중 당진 지역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의 비율은 30%에 달한다”며 “당진에서 나고 자란 인재가 당진의 기업에 들어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기업이 사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인재만 확보해도 먹고 사는 데 문제는 없다는 게 김 원장의 생각이다. 이런 평범한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충남당진산학융합본부가 매일경제와 함께 개설해 진행하고 있는 ‘산학융합 정책과정’은 당진 지역 기업 오너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이다. 김 원장은 이 교육을 통해 당진지역 기업 오너들이 자신과 궁합이 맞는 유망산업과 사업 파트너를 판별할 수 있는 눈을 갖는 것을 기대한다.
당진 지역 기업들이 글로벌 혁신기업과 협업할 물꼬를 트기 위해 김 원장은 자신의 네트워크를 활용할 계획이다. 그가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핀란드 투르크대, 카자흐스탄국립대 등에서 초빙·방문 교수로 활동하면서 쌓은 인맥들을 통해서다. 그는 “바이오헬스케어산업이 유망해 보인다”며 “이 분야의 스타트업들을 한국으로 초대해 당진 지역 기업들이 제조능력을 홍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