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청년실업률 9.2%…1999년 통계기준 변경 이후 최고 "메르스 이후 회복세"
작년 청년 실업률이 9.2%를 기록하며 사실상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습니다.
연간 취업자 수는 2014년과 비교해 33만7천명 늘었습니다. 이는 2010년 32만3천명을 기록한 이후 5년 만에 최저치입니다.
작년 고용률은 60.3%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5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는 2천593만6천명으로 전년보다 33만7천명 증가했습니다.
전년 대비 취업자 증가 인원은 2011년 41만5천명, 2012년 43만7천명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2013년 38만6천명으로 감소했습니다.
2014년 53만3천명으로 증가폭이 커졌지만 1년 만에 다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습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작년 연간 취업자 수 증가폭은 이전 해와 비교하면 비슷한 수준"이라며 "2014년 취업자 수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컸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심 과장은 "감소세인 농업을 제외하면 비농림어업 부문 취업자는 오히려 2013년보다 많은 수준"이라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 때문에 작년 2분기에 최저치를 찍었다가 회복하는 모습"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9.2%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올랐습니다.
1999년 통계 기준이 변경된 이후 가장 높은 것입니다. 이전에는 구직기간이 일주일만 되면 실업자로 분류했으나 1999년 6월부터는 구직기간을 4주로 확대해 적용하고 있습니다.
청년 실업률은 성별로 봐도 남자(10.6%)와 여자(7.8%) 모두 역대 최고치였습니다.
청년 실업률이 상승한 이유는 오랫동안 대학에 남거나 공무원 시험 등을 준비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로 남아있던 청년들이 적극적으로 취업시장의 문을 두드렸지만 취업의 문이 그만큼 넓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청년층 경제활동 인구는 전년보다 8만명 늘었지만 취업자 수는 6만8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통계 조사 시점에 1주일 이상 돈 버는 일을 한 사람이 취업자로 분류되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청년 실업자는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작년 전체 실업률은 3.6%로 2010년(3.7%)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고용률(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은 60.3%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2010년 58.7%를 나타낸 이래 계속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청년 고용률은 41.5%로 전년대비 0.8%포인트 올랐습니다.
김진명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지난해 청년 경제활동참가율이 0.9%포인트 상승했는데, 이 중 고용률이 0.8%포인트 늘고 실업률은 0.2%포인트 증가한 것"이라며 "청년 실업률이 상승했지만 고용이 더 크게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보다 50∼60대 취업자 증가폭이 컸습니다.
지난해 15∼29세 취업자는 6만8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60세 이상은 17만2천명, 50대는 14만9천명 증가했습니다.
30대와 40대 취업자는 각각 3만8천명, 1만4천명 줄었습니다.
한국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50세 이상 인구가 늘고 40대 이하는 줄어든 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15만6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8만2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7만7천명)에서 증가했지만 농립어업(-10만7천명), 금융및보험업(-4만8천명)에서 감소했습니다.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종사자가 13만명(3.9%),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가 8만7천명(3.9%) 증가했습니다.
농림어업 숙련종사자는 11만2천명(-8.2%), 관리자는 4만4천명(-11.1%) 감소했습니다.
지위별로는 임금 근로자가 48만7천명(2.6%) 늘었고, 비임금 금로자는 15만1천명(2.2%) 감소했습니다.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31만5천명(1.5%),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2만9천명(0.7%) 늘었습니다.
작년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10만5천명으로 전년대비 0.8% 증가했습니다. 활동상태별로 보면 재학·수강 등에선 14만6천명(-3.4%), 가사(-4만5천명) 0.8% 감소했지만 '쉬었음'은 14만1천명(9.7%) 늘었고 '연로'도 10만9천명(5.7%) 증가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구직단념자는 46만4천명으로 전년대비 17.7%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2월 취업자는 전년 대비 49만5천명 늘어나 1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월간 고용률은 59.9%를 기록했고, 실업률은 3.2%였다. 청년층 실업률은 8.4%를 기록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작년 청년 실업률이 9.2%를 기록하며 사실상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습니다.
연간 취업자 수는 2014년과 비교해 33만7천명 늘었습니다. 이는 2010년 32만3천명을 기록한 이후 5년 만에 최저치입니다.
작년 고용률은 60.3%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5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는 2천593만6천명으로 전년보다 33만7천명 증가했습니다.
전년 대비 취업자 증가 인원은 2011년 41만5천명, 2012년 43만7천명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2013년 38만6천명으로 감소했습니다.
2014년 53만3천명으로 증가폭이 커졌지만 1년 만에 다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습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작년 연간 취업자 수 증가폭은 이전 해와 비교하면 비슷한 수준"이라며 "2014년 취업자 수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컸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심 과장은 "감소세인 농업을 제외하면 비농림어업 부문 취업자는 오히려 2013년보다 많은 수준"이라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 때문에 작년 2분기에 최저치를 찍었다가 회복하는 모습"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9.2%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올랐습니다.
1999년 통계 기준이 변경된 이후 가장 높은 것입니다. 이전에는 구직기간이 일주일만 되면 실업자로 분류했으나 1999년 6월부터는 구직기간을 4주로 확대해 적용하고 있습니다.
청년 실업률은 성별로 봐도 남자(10.6%)와 여자(7.8%) 모두 역대 최고치였습니다.
청년 실업률이 상승한 이유는 오랫동안 대학에 남거나 공무원 시험 등을 준비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로 남아있던 청년들이 적극적으로 취업시장의 문을 두드렸지만 취업의 문이 그만큼 넓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청년층 경제활동 인구는 전년보다 8만명 늘었지만 취업자 수는 6만8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통계 조사 시점에 1주일 이상 돈 버는 일을 한 사람이 취업자로 분류되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청년 실업자는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작년 전체 실업률은 3.6%로 2010년(3.7%)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고용률(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은 60.3%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2010년 58.7%를 나타낸 이래 계속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청년 고용률은 41.5%로 전년대비 0.8%포인트 올랐습니다.
김진명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지난해 청년 경제활동참가율이 0.9%포인트 상승했는데, 이 중 고용률이 0.8%포인트 늘고 실업률은 0.2%포인트 증가한 것"이라며 "청년 실업률이 상승했지만 고용이 더 크게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보다 50∼60대 취업자 증가폭이 컸습니다.
지난해 15∼29세 취업자는 6만8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60세 이상은 17만2천명, 50대는 14만9천명 증가했습니다.
30대와 40대 취업자는 각각 3만8천명, 1만4천명 줄었습니다.
한국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50세 이상 인구가 늘고 40대 이하는 줄어든 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15만6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8만2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7만7천명)에서 증가했지만 농립어업(-10만7천명), 금융및보험업(-4만8천명)에서 감소했습니다.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종사자가 13만명(3.9%),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가 8만7천명(3.9%) 증가했습니다.
농림어업 숙련종사자는 11만2천명(-8.2%), 관리자는 4만4천명(-11.1%) 감소했습니다.
지위별로는 임금 근로자가 48만7천명(2.6%) 늘었고, 비임금 금로자는 15만1천명(2.2%) 감소했습니다.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31만5천명(1.5%),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2만9천명(0.7%) 늘었습니다.
작년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10만5천명으로 전년대비 0.8% 증가했습니다. 활동상태별로 보면 재학·수강 등에선 14만6천명(-3.4%), 가사(-4만5천명) 0.8% 감소했지만 '쉬었음'은 14만1천명(9.7%) 늘었고 '연로'도 10만9천명(5.7%) 증가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구직단념자는 46만4천명으로 전년대비 17.7%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2월 취업자는 전년 대비 49만5천명 늘어나 1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월간 고용률은 59.9%를 기록했고, 실업률은 3.2%였다. 청년층 실업률은 8.4%를 기록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