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경자 화백 별세, 1991년 미인도 위작 논란은? "이건 내 작품 아니다"
천경자 화백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과거 1991년 '미인도' 위작 논란이 다시금 누리꾼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당시 '미인도' 위작 논란은 국내 미술계 최대의 위작 시비 중 하나로 꼽힙니다.
67세였던 천 화백은 이 사건으로 충격을 받아 절필을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미인도' 위작 논란은 1991년 4월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한 천경자의 작품에 대해 작가가 직접 위작 의혹을 제기하면서 시작됐습니다.
'미인도'는 어깨에 나비가 앉은 여성 인물화로 국립현대미술관의 '움직이는 미술관' 전시에 포함됐습니다.
천 화백은 이 작품의 아트 포스터(복제품)를 본 친지에게서 "복제품이 이상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후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던 작품과 복제품을 검토해 자신의 그림이 아니라는 주장을 했습니다.
천 화백은 자신의 화풍과 달리 머리가 검게 개칠되어 있고, 그려본 적이 없는 흰 꽃이 화관으로 모델 머리에 쓰여 있으며, 연도가 한자가 아닌 아라비아숫자로 쓰인 점과 무엇보다도 자신의 그림에서 느껴지는 혼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여 "미인도는 내 작품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 이야기가 언론을 통해 세상에 드러났고 이에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재 감정을 하였으나 "문제의 미인도가 구도와 기법 등 화풍에서 천경자의 작품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공식감정 결과를 최종 발표하였습니다.
그러나 1999년 고서화 위작 및 사기판매사건으로 구속된 위조범 권 모 씨가 검찰 수사과정에서 "화랑을 하는 친구의 요청에 따라 소액을 받고 달력 그림 몇 개를 섞어서 '미인도'를 만들었다"고 말하면서 위작 시비가 재연됐습니다.
이에 대해 당시 국립현대미술관 측은 "'미인도'(29Ⅹ26㎝)는 진짜이며 현대미술관이 현재 소장하고 있다"면서 "한국화 위조범과 현대 미술관 중 어느 쪽을 믿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천 화백은 "자기 자식을 몰라보는 부모가 어디 있느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후속 조치로 국립과학수사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에 작품 감정을 의뢰했고 한국화랑협회에서는 진품이라는 감정을 내렸습니다.
당시 화백은 창작자의 증언을 무시한 채 가짜를 진품으로 오도하는 화단 풍토에선 창작행위 자체가 아무 의미가 없다며 붓을 놓고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직도 사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천 화백은 '자기 그림도 몰라보는 정신 나간 작가'라는 불명예를 안았고 엄청난 정신적 고초를 겪었습니다.
천 화백의 둘째딸 김정희 씨는 당시 "위작 시비는 언젠가는 밝혀질 자명한 사건"이라며 "위작 여부의 진실이 밝혀지겠지만, 국가기관이나 특정 이익단체가 조직적으로 나서 일평생 외골수로 작업한 화가의 작가 정신을 말살하는 사건이 다시 일어나서는 안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천경자 화백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과거 1991년 '미인도' 위작 논란이 다시금 누리꾼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당시 '미인도' 위작 논란은 국내 미술계 최대의 위작 시비 중 하나로 꼽힙니다.
67세였던 천 화백은 이 사건으로 충격을 받아 절필을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미인도' 위작 논란은 1991년 4월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한 천경자의 작품에 대해 작가가 직접 위작 의혹을 제기하면서 시작됐습니다.
'미인도'는 어깨에 나비가 앉은 여성 인물화로 국립현대미술관의 '움직이는 미술관' 전시에 포함됐습니다.
천 화백은 이 작품의 아트 포스터(복제품)를 본 친지에게서 "복제품이 이상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후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던 작품과 복제품을 검토해 자신의 그림이 아니라는 주장을 했습니다.
천 화백은 자신의 화풍과 달리 머리가 검게 개칠되어 있고, 그려본 적이 없는 흰 꽃이 화관으로 모델 머리에 쓰여 있으며, 연도가 한자가 아닌 아라비아숫자로 쓰인 점과 무엇보다도 자신의 그림에서 느껴지는 혼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여 "미인도는 내 작품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 이야기가 언론을 통해 세상에 드러났고 이에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재 감정을 하였으나 "문제의 미인도가 구도와 기법 등 화풍에서 천경자의 작품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공식감정 결과를 최종 발표하였습니다.
그러나 1999년 고서화 위작 및 사기판매사건으로 구속된 위조범 권 모 씨가 검찰 수사과정에서 "화랑을 하는 친구의 요청에 따라 소액을 받고 달력 그림 몇 개를 섞어서 '미인도'를 만들었다"고 말하면서 위작 시비가 재연됐습니다.
이에 대해 당시 국립현대미술관 측은 "'미인도'(29Ⅹ26㎝)는 진짜이며 현대미술관이 현재 소장하고 있다"면서 "한국화 위조범과 현대 미술관 중 어느 쪽을 믿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천 화백은 "자기 자식을 몰라보는 부모가 어디 있느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후속 조치로 국립과학수사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에 작품 감정을 의뢰했고 한국화랑협회에서는 진품이라는 감정을 내렸습니다.
당시 화백은 창작자의 증언을 무시한 채 가짜를 진품으로 오도하는 화단 풍토에선 창작행위 자체가 아무 의미가 없다며 붓을 놓고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직도 사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천 화백은 '자기 그림도 몰라보는 정신 나간 작가'라는 불명예를 안았고 엄청난 정신적 고초를 겪었습니다.
천 화백의 둘째딸 김정희 씨는 당시 "위작 시비는 언젠가는 밝혀질 자명한 사건"이라며 "위작 여부의 진실이 밝혀지겠지만, 국가기관이나 특정 이익단체가 조직적으로 나서 일평생 외골수로 작업한 화가의 작가 정신을 말살하는 사건이 다시 일어나서는 안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