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학년도부터 교원평가가 연 2회로 줄고 학교별 성과급제는 폐지된다.
교육부는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교원평가제도 개선 방안’을 3일 발표했다.
개선안은 기존 근무성적평정과 성과상여금평가를 교원업적평가(성과평가)로 통합하고 전문성 중심의 교원능력개발평가를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그동안 3가지 교원평가가 별도로 실시된 데 따른 비효율성과 교원들의 피로감 호소, 평가별 결과 차이로 인한 신뢰성 논란, 연공서열식 평가 등의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서다.
교원업적평가는 관리자평가와 교사평가로 나뉘어 실시되고 합산 점수가 승진 등 인사에 반영된다. 교사평가 결과는 개인성과급 지급에도 활용된다.
교사평가 방식에는 정성평가와 정량평가가 혼용된다.
승진에 활용되는 평가는 정성평가와 정량평가 비율이 8대 2이고 개인성과급은 정성평가와 정량평가가 2대 8이다.
전국의 학교를 등급으로 나눠 성과급을 차등지급하는 학교성과급 제도는 폐지하기로 했다.
김동원 교육부 학교정책실장은 “학교성과급 평가는 개인의 노력과 상관없이 학교의 지리적, 사회적 여건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냐고 불만을 제기하는 선생님들이 많다”고 말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등 교원단체는 그동안 학교성과급 제도가 학교 간 지친 경쟁을 가져온다며 폐지를 주장해왔다.
성과급 총액의 20%를 차지해온 학교성과급 제도가 폐지되면 교원 간 성과급 차액이 약간 커질 수 있다.
현재 개인성과급은 차등 지급률 50%를 기준으로 261만원에서 420만원까지 최대 159만원 정도 차이가 난다.
교육부는 학교성과급이 폐지되면 개인성과급에 70% 차등 지급률을 적용, 교원 간 최대 차액이 160만원대가 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학생 만족도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고 시·도교육청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선된다.
신뢰성 논란이 있는 초등학생 만족도조사는 능력향상연수대상자 지명에는 활용하지 않고 교원의 자기성찰 자료에만 쓰기로 했다.
지난해 초등학생 만족도조사가 낮아 연수를 받은 교원은 36명이다.
중·고등학생 만족도조사는 양극단값 5%씩, 총 10%를 제외한 결과만 활용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앞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관한 훈련’을 제정해 공통지표와 선택지표를 제시하고 시·도교육청 중심의 자율적 시행을 유도하기로 했다.
평가용어와 지표도 정비된다.
팡가용어는 영역, 요소, 지표, 문항 등 4개로 줄어들고 생활지도영역 비율은 현행 20%에서 30%로 상향조정된다.
이와 함께 평가대상 기간이 연도 단위에서 3월에 시작하는 학년 단위로 통일된다.
근무성적 합산 비율은 유리한 3년을 5대 3대 2로 반영하는 방식이 1대 1대 1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교육부는 올해 12월까지 관련법 제·개정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교원평가제도 개선안을 시행할 계획이다.
김동원 실장은 “개선안은 교원의 평가부담을 경감하고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것”이라며 “학생지도를 잘하는 교원이 우대받는 학교문화가 조성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