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저축은행의 비리와 영업정지가 시작된 것은 지난해 2월. 저축은행 파문이 우리경제를 뒤흔든지도 벌써 1년이 되고 있습니다.
은행 16곳이 문을 닫았고, 11명의 관계자가 구속기소됐습니다. 그리고 책임자급 자살 3명.
그러나 아직도 검찰의 저축은행에 관한 수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수정 기자가 지난 1년을 정리했습니다.
【 기자 】
저축은행 비리는 지난해 2월. 유동성 위기에 몰린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되면서 시작됩니다.
▶ 인터뷰 : 김석동 / 금감위원장
-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에 대해 6개월간 영업정지 조치를 부과했습니다."
이후 금융당국이 검찰에 고발했고, 이때부터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합니다.
"찰칵, 찰칵(현장음)"
▶ 인터뷰 : 최재경 / 대검 중수부장(지난해 11월)
- "저축은행 비리가 중소기업과 서민 생활을 위협하고 국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큰 만큼 드러난 비리는 엄단하겠습니다."
검찰수사로 드러난 비리는 부산저축은행 한 곳만 해도 9조 원 규모입니다.
저축은행 비리가 이처럼 커진 이유는 대주주가 고객 돈을 마치 쌈짓돈처럼 썼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에이스저축은행은 한 업체에 7천억 원을 대출해줬고, 업체 대표는 이 돈의 일부를 나이트클럽을 인수하거나 고급 외제차를 사는 데 썼습니다.
저축은행에 대한 정부의 관리 감독 소홀도 비리를 키웠습니다.
저축은행을 10년 넘게 관리해왔지만 드러난 문제는 없었고, 오히려 저축은행을 노후 대비수단으로 악용하기도 했습니다.
검찰은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을 꾸리고 유동천 제일저축은행 회장과 신현규 토마토저축은행 회장 등 11명을 구속기소한 상태입니다.
▶ 스탠딩 : 정수정 / 기자
- "저축은행 비리에 대한 수사는 아직도 진행 중입니다. 비리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저축은행은 서민의 꿈을 키워주는 곳이 아닌 범죄의 온상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MBN뉴스 정수정입니다." [ suall@mbn.co.kr ]
저축은행의 비리와 영업정지가 시작된 것은 지난해 2월. 저축은행 파문이 우리경제를 뒤흔든지도 벌써 1년이 되고 있습니다.
은행 16곳이 문을 닫았고, 11명의 관계자가 구속기소됐습니다. 그리고 책임자급 자살 3명.
그러나 아직도 검찰의 저축은행에 관한 수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수정 기자가 지난 1년을 정리했습니다.
【 기자 】
저축은행 비리는 지난해 2월. 유동성 위기에 몰린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되면서 시작됩니다.
▶ 인터뷰 : 김석동 / 금감위원장
-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에 대해 6개월간 영업정지 조치를 부과했습니다."
이후 금융당국이 검찰에 고발했고, 이때부터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합니다.
"찰칵, 찰칵(현장음)"
▶ 인터뷰 : 최재경 / 대검 중수부장(지난해 11월)
- "저축은행 비리가 중소기업과 서민 생활을 위협하고 국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큰 만큼 드러난 비리는 엄단하겠습니다."
검찰수사로 드러난 비리는 부산저축은행 한 곳만 해도 9조 원 규모입니다.
저축은행 비리가 이처럼 커진 이유는 대주주가 고객 돈을 마치 쌈짓돈처럼 썼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에이스저축은행은 한 업체에 7천억 원을 대출해줬고, 업체 대표는 이 돈의 일부를 나이트클럽을 인수하거나 고급 외제차를 사는 데 썼습니다.
저축은행에 대한 정부의 관리 감독 소홀도 비리를 키웠습니다.
저축은행을 10년 넘게 관리해왔지만 드러난 문제는 없었고, 오히려 저축은행을 노후 대비수단으로 악용하기도 했습니다.
검찰은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을 꾸리고 유동천 제일저축은행 회장과 신현규 토마토저축은행 회장 등 11명을 구속기소한 상태입니다.
▶ 스탠딩 : 정수정 / 기자
- "저축은행 비리에 대한 수사는 아직도 진행 중입니다. 비리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저축은행은 서민의 꿈을 키워주는 곳이 아닌 범죄의 온상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MBN뉴스 정수정입니다." [ suall@mbn.co.kr ]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