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의 역할이 일본의 참의원 선거 종료를 기점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4개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이 총리는 오늘(22일) 오전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부터 한일 현안에 대해 보고를 받고 대응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또한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최병환 국무1차장으로부터 이와 관련한 진행상황을 상세히 보고받았습니다.
이 총리는 외교 협의의 제약 요인 중 하나로 꼽았던 일본 참의원 선거가 종료된 만큼 본격적으로 수면 위·아래에서 조정 역할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이 총리는 지난 21일 순방 기자단 간담회에서 "선거일이 가까워지면 말을 거칠게 하거나 신중치 못해도 유권자에게 환영받을 수 있다"며, "참의원 선거가 끝나면 일본이 평상심으로 외교 협의에 임하기가 더 쉬워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한일 갈등 국면에서 투톱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총리의 대일 역할론이 더욱 주목받는 상황입니다.
이 총리의 대일 특사 파견 가능성도 거론되지만, 그에 앞서 공식·비공식 채널을 통해 강제징용 피해배상, 일본의 수출규제 문제에서 양국 접점을 찾기 위해 조율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 내 대표적인 '지일파'로 꼽히는 이 총리는 능통한 일본어를 활용해 비공식적으로 일본의 관가 또는 정계, 경제계 등 인적 네트워크와 수시로 접촉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통해 일본발로 보도되는 내용의 실제 기류와 배경을 파악하고 대처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 총리는 실제로 순방 기간에 "일본 관계는 하루도 빠지지 않고 서울 또는 도쿄와 연락을 하며 그날그날의 상황을 점검하고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 16일 간담회에서는 "모종의 흐름이 진행되고 있다"며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외교적 협의가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또한 "서로 접점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외교적 협의는 진행되고 있고, 성과를 낼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총리는 또 강제징용 피해배상 관련 지난 6월 우리 정부가 일본에 제안한 '1+1 기금'(일본 기업과 한국 기업이 함께 조성하는 기금)도 우리 정부의 최종안이 아니라고 밝혀 논의의 여지를 열어뒀습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최근 '문재인 정부는 국익수호를 위하여 '서희'의 역할과 '이순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이 총리의 역할이 사실상 서희의 역할에 가까운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고려시대 문관인 서희는 993년 거란이 침략했을 때 외교 담판을 통해 강동 6주를 얻어냈고, 이순신은 임진왜란 당시 치열한 전투를 통해 조선을 구해냈습니다.
조국 수석 등 여권 인사가 대일 여론전의 최선봉에 나서는 것과 결을 달리해 이 총리는 양쪽을 아우르는 차분한 외교적 역할에 치중할 것이란 분석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