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외교관, 잇따라 대선후보 접촉…북핵·사드문제 놓고 치열한 '탐색전'
대선이 불과 28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과 중국 양강의 한반도 문제 담당 요인이 20여 일 차이를 두고 잇달아 방한해 대선 후보들과 접촉하며 '탐색전'을 벌였습니다.
중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11일 각각 바른정당과 정의당의 대선후보인 유승민, 심상정 후보와 면담하고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및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우 대표는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와도 면담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선대위의 송영길 총괄본부장, 심재철 국회 부의장 등과도 잇따라 만날 예정입니다.
1년여 만에 방한한 우 대표는 전날 입국한 뒤 윤병세 외교장관 예방 및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의 협의를 마쳐 실질적으로 남은 3~4일 동안 정계 인사들과의 만남 등에 주력할 전망입니다.
특히 이번 6자수석 협의에서 한중은 북한 전략적 도발시의 강력한 추가 조치 시행에 합의했지만, 중국 측의 경우 비핵화-평화체제 병행론이나 사드 배치 반대 등 전반적으로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는 데 그친 것으로 알려져 우 대표 방한의 초점이 사실상 대선 주자 접촉에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우 대표는 이날 유승민, 심상정 후보와의 면담에서 특히 사드의 X밴드 레이더(TPY-2 TM)에 우려를 표하며 "이를 배치하게 되면 중국 측 안보적 이익은 반드시 큰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두고 적당한 수준에서 의견을 교환하는 차원이 아닌 준비된 메시지를 통해 분명한 어조로 자국 정부의 입장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앞서 지난달 20일에는 미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방한해 국내 대선 주자 측을 잇달아 만났습니다.
중국 베이징(北京) 방문을 마치고 한국을 방문했던 윤 대표는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였던 안희정 충남도지사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를 만나 각종 현안에 관한 대화를 나눴습니다.
그는 아울러 문재인 후보의 정책 자문기구인 '국민아그레망'의 조병제 전 주 말레이시아대사와 '10년의 힘 위원회' 소속 서훈 전 국가정보원 3차장과도 회동했습니다.
윤 대표의 당시 여러 면담에서도 우 대표와 마찬가지로 핵심 주제는 사드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안 지사 측 관계자는 "사드와 북핵문제, 한미·한중·한일관계 등에 대해 두루두루 얘기를 많이 했다"고 설명했고, 박지원 대표는 중국의 사드 보복에 대해 윤 대표가 "빠른 시일 안에 중국의 경제 제재(보복)가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우리의 '부차관보'급인 윤 대표를 공당의 대선 주자 등이 만난 사실을 놓고 '사대주의 외교'가 아니냐는 일각의 비판 목소리도 있었지만, 결국 미국 신행정부가 한국 대선 기류에 주목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습니다.
이 밖에도 윤 대표 방한과 비슷한 시기에 중국 외교부 정책자문위원회 대표단의 단장격으로 왕잉판(王英凡) 전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이 한국을 찾아 대선 후보 캠프 관계자들과 면담했고, 최근에는 1990년대 미북 접촉 주역인 토니 남궁 전 버클리대 동아시아연구소 부소장이 방한해 야당 인사와 만난 것으로 알려지는 등 대선을 앞둔 한국에 미중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고도화에도 이유가 있지만, 그보다는 정권 교체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게 점쳐지는 가운데 외교·안보 정책의 큰 폭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미국과 중·러 양 진영의 전략적 경쟁에 북한의 거듭된 도발, 일본과의 마찰이 날줄과 씨줄로 교차하는 상황에 한국의 외교 정책이 동북아 정세를 규정하는 데 있어서 적지 않은 의미를 내포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부산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일본으로 돌아갔던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 일본대사의 85일 만의 '수세적' 귀임도 한국 대선 상황에 대응해야하는 일본 당국의 입장이 반영된 측면이 컸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변 강국들의 대선 후보 진영 접촉은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순수한 탐색을 넘어 '공세'의 측면도 있어 보인다. 한국 차기 정부의 정책 수립 과정에 자국의 입장을 반영시키도록 하려는 사전 외교전의 측면도 엿보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대선이 불과 28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과 중국 양강의 한반도 문제 담당 요인이 20여 일 차이를 두고 잇달아 방한해 대선 후보들과 접촉하며 '탐색전'을 벌였습니다.
중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11일 각각 바른정당과 정의당의 대선후보인 유승민, 심상정 후보와 면담하고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및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우 대표는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와도 면담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선대위의 송영길 총괄본부장, 심재철 국회 부의장 등과도 잇따라 만날 예정입니다.
1년여 만에 방한한 우 대표는 전날 입국한 뒤 윤병세 외교장관 예방 및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의 협의를 마쳐 실질적으로 남은 3~4일 동안 정계 인사들과의 만남 등에 주력할 전망입니다.
특히 이번 6자수석 협의에서 한중은 북한 전략적 도발시의 강력한 추가 조치 시행에 합의했지만, 중국 측의 경우 비핵화-평화체제 병행론이나 사드 배치 반대 등 전반적으로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는 데 그친 것으로 알려져 우 대표 방한의 초점이 사실상 대선 주자 접촉에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우 대표는 이날 유승민, 심상정 후보와의 면담에서 특히 사드의 X밴드 레이더(TPY-2 TM)에 우려를 표하며 "이를 배치하게 되면 중국 측 안보적 이익은 반드시 큰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두고 적당한 수준에서 의견을 교환하는 차원이 아닌 준비된 메시지를 통해 분명한 어조로 자국 정부의 입장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앞서 지난달 20일에는 미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방한해 국내 대선 주자 측을 잇달아 만났습니다.
중국 베이징(北京) 방문을 마치고 한국을 방문했던 윤 대표는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였던 안희정 충남도지사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를 만나 각종 현안에 관한 대화를 나눴습니다.
그는 아울러 문재인 후보의 정책 자문기구인 '국민아그레망'의 조병제 전 주 말레이시아대사와 '10년의 힘 위원회' 소속 서훈 전 국가정보원 3차장과도 회동했습니다.
윤 대표의 당시 여러 면담에서도 우 대표와 마찬가지로 핵심 주제는 사드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안 지사 측 관계자는 "사드와 북핵문제, 한미·한중·한일관계 등에 대해 두루두루 얘기를 많이 했다"고 설명했고, 박지원 대표는 중국의 사드 보복에 대해 윤 대표가 "빠른 시일 안에 중국의 경제 제재(보복)가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우리의 '부차관보'급인 윤 대표를 공당의 대선 주자 등이 만난 사실을 놓고 '사대주의 외교'가 아니냐는 일각의 비판 목소리도 있었지만, 결국 미국 신행정부가 한국 대선 기류에 주목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습니다.
이 밖에도 윤 대표 방한과 비슷한 시기에 중국 외교부 정책자문위원회 대표단의 단장격으로 왕잉판(王英凡) 전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이 한국을 찾아 대선 후보 캠프 관계자들과 면담했고, 최근에는 1990년대 미북 접촉 주역인 토니 남궁 전 버클리대 동아시아연구소 부소장이 방한해 야당 인사와 만난 것으로 알려지는 등 대선을 앞둔 한국에 미중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고도화에도 이유가 있지만, 그보다는 정권 교체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게 점쳐지는 가운데 외교·안보 정책의 큰 폭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미국과 중·러 양 진영의 전략적 경쟁에 북한의 거듭된 도발, 일본과의 마찰이 날줄과 씨줄로 교차하는 상황에 한국의 외교 정책이 동북아 정세를 규정하는 데 있어서 적지 않은 의미를 내포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부산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일본으로 돌아갔던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 일본대사의 85일 만의 '수세적' 귀임도 한국 대선 상황에 대응해야하는 일본 당국의 입장이 반영된 측면이 컸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변 강국들의 대선 후보 진영 접촉은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순수한 탐색을 넘어 '공세'의 측면도 있어 보인다. 한국 차기 정부의 정책 수립 과정에 자국의 입장을 반영시키도록 하려는 사전 외교전의 측면도 엿보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