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진수순 남겨둔 새누리 '투톱'…비대위 전환은 언제쯤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새누리당 지도부의 거취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당의 정신적 구심점이었던 박 대통령이 국회에 의해 '정치적 파면'을 당한 상황에서 집권여당의 사령탑 역시 책임을 지고 사퇴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게 당내의 지배적인 여론입니다.
이미 시점이 어떻게 됐든 이정현 대표가 이끄는 현 지도부를 해체하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는 쪽으로 큰 틀의 컨센서스가 형성된 상태입니다.
이 대표는 지난 9일 박 대통령의 탄핵안이 가결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최소한의 장치만 마련해 놓고 물러나겠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최소한의 장치'란 비상대책위원회의 구성을 뜻합니다.
바꿔말해 비대위 구성 완료시점에 물러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 대표는 그동안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다음 달 21일 개최하는 것을 전제로 오는 21∼26일 사이에 사퇴하겠다고 말해왔지만, 이제는 비대위 구성이 미뤄진다면 사퇴 시점을 늦출 수도 있다는 쪽으로 입장을 바꾼 것입니다.
이 대표가 사퇴하면 당헌·당규에 따라 정진석 원내대표가 당 대표 권한대행을 수행합니다.
문제는 정진석 원내대표가 사퇴하겠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것입니다. 정 원내대표는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하고 거국중립내각 구성논의가 끝나면 사퇴하겠다고 밝혀왔고, 최근 의원총회에서는 사퇴의사를 재차 밝혔습니다.
만일 정 원내대표가 사퇴하면 당규에 나와 있는 대로 일주일 안에 의원총회를 열어 차기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을 선출해야 합니다. 선거 날짜는 당 대표가 3일 전에 공고해야 합니다.
새 원내대표가 뽑히면 이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물러나고, 차기 원내대표가 당 대표 권한대행으로서 비상대책위원회를 의결할 전국위원회를 소집하는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누리당 의원 절반 가까이가 탄핵에 찬성하고 그에 따라 당의 진로를 둘러싼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현 시점에서 정 원내대표가 선뜻 자리에서 내려올 수 있을 지는 미지수입니다. '포스트 탄핵' 국면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하는 차원에서 즉각 사퇴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게 원내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앞으로의 관전포인트는 비대위 인선논의의 향방입니다. 현재로서는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만이 유일한 선택지로 남아있지만 위원장 인선은 물론 향후 체제를 어떻게 이끌어갈지에 대한 논의가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주류·비주류를 대표하는 중진 의원 6명으로 꾸려진 협의체가 김형오·박관용·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조순형 전 새천년민주당대표를 비대위원장 후보로 추천했으나 네 사람 모두 거부했습니다.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당을 구하려면 내부인사에 비대위원장 칼자루를 쥐여줘야 한다는 공감대도 형성돼 있습니다.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유력하게 거론됩니다.
비대위가 구성된다면 현 지도부가 의결한 전당대회 일정을 번복할 가능성이 큽니다. 내년 대통령선거가 앞당겨진다는 전망이 압도적이므로, 대선 때까지 비대위 체제를 유지할 것이라는 게 당 안팎의 분석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새누리당 지도부의 거취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당의 정신적 구심점이었던 박 대통령이 국회에 의해 '정치적 파면'을 당한 상황에서 집권여당의 사령탑 역시 책임을 지고 사퇴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게 당내의 지배적인 여론입니다.
이미 시점이 어떻게 됐든 이정현 대표가 이끄는 현 지도부를 해체하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는 쪽으로 큰 틀의 컨센서스가 형성된 상태입니다.
이 대표는 지난 9일 박 대통령의 탄핵안이 가결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최소한의 장치만 마련해 놓고 물러나겠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최소한의 장치'란 비상대책위원회의 구성을 뜻합니다.
바꿔말해 비대위 구성 완료시점에 물러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 대표는 그동안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다음 달 21일 개최하는 것을 전제로 오는 21∼26일 사이에 사퇴하겠다고 말해왔지만, 이제는 비대위 구성이 미뤄진다면 사퇴 시점을 늦출 수도 있다는 쪽으로 입장을 바꾼 것입니다.
이 대표가 사퇴하면 당헌·당규에 따라 정진석 원내대표가 당 대표 권한대행을 수행합니다.
문제는 정진석 원내대표가 사퇴하겠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것입니다. 정 원내대표는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하고 거국중립내각 구성논의가 끝나면 사퇴하겠다고 밝혀왔고, 최근 의원총회에서는 사퇴의사를 재차 밝혔습니다.
만일 정 원내대표가 사퇴하면 당규에 나와 있는 대로 일주일 안에 의원총회를 열어 차기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을 선출해야 합니다. 선거 날짜는 당 대표가 3일 전에 공고해야 합니다.
새 원내대표가 뽑히면 이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물러나고, 차기 원내대표가 당 대표 권한대행으로서 비상대책위원회를 의결할 전국위원회를 소집하는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누리당 의원 절반 가까이가 탄핵에 찬성하고 그에 따라 당의 진로를 둘러싼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현 시점에서 정 원내대표가 선뜻 자리에서 내려올 수 있을 지는 미지수입니다. '포스트 탄핵' 국면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하는 차원에서 즉각 사퇴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게 원내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앞으로의 관전포인트는 비대위 인선논의의 향방입니다. 현재로서는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만이 유일한 선택지로 남아있지만 위원장 인선은 물론 향후 체제를 어떻게 이끌어갈지에 대한 논의가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주류·비주류를 대표하는 중진 의원 6명으로 꾸려진 협의체가 김형오·박관용·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조순형 전 새천년민주당대표를 비대위원장 후보로 추천했으나 네 사람 모두 거부했습니다.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당을 구하려면 내부인사에 비대위원장 칼자루를 쥐여줘야 한다는 공감대도 형성돼 있습니다.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유력하게 거론됩니다.
비대위가 구성된다면 현 지도부가 의결한 전당대회 일정을 번복할 가능성이 큽니다. 내년 대통령선거가 앞당겨진다는 전망이 압도적이므로, 대선 때까지 비대위 체제를 유지할 것이라는 게 당 안팎의 분석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