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12·21 개각으로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황우여 사회부총리의 여의도 귀환이 예고되면서 새누리당 내 친박계에 한층 더 힘이 보태질 전망이다. 심지어 친박계 의원들 사이에서는 이른바 ‘어게인(Again) 2013’이라는 구호도 회자되고 있다. 박근혜 정부 초기인 2013년 국정과제의 입법 지원을 책임졌던 ‘친박 투톱’ 황우여 대표·최경환 원내대표가 다시 당으로 돌아와 정국을 주도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특히 샅바싸움이 치열한 공천룰 및 당 운영 방식과 관련해 최 부총리가 ‘박심(朴心) 의 메신저’ 역할을 하며 친박계를 진두지휘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박 대통령이 정무특보를 통해 국회와 교감하던 때보다 더욱 직접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당·청관계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국회에 귀환하는 핵심 친박 인사들의 첫번째 임무는 쟁점법안·노동개혁 5법의 일괄처리다. 새정치민주연합의 분열로 여야 협상 채널이 와해된 상태지만, 추진력 있는 최 부총리 등이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친박계 내에 퍼져있는 상태다. 실제로 최 부총리는 지난달 말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통과와 이달 초 내년도 예산안 처리 과정에 정부 대표로서 쟁점분야 절충 논의에 직접 관여하며 대야 협상력을과시한 바 있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한·중FTA와 예산안을 처리하는 동시에 그간 통과되지 못했던 주요 경제활성화법을 통과시킨 것은 최 전 부총리의 리더십과 협상력이 국회에서 증명된 것”며 “쟁점법안·노동개혁 5법의 처리에서도 이같은 추진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같은 구상을 뒷받침하는 인사들로 ‘최경환 사단’으로 불린 2년전 원내대표단 멤버들이 주목받고 있다. 당시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를 비롯해 김태흠·홍지만·강은희(공보 담당). 이헌승·김진태(기획·법률 담당), 이채익·이우현(의사 담당), 류지영·김한표·이완영(대외협력 담당), 문정림(여성 담당), 신동우(창조경제·경제민주화 담당), 윤재옥(정치쇄신 담당) 의원 등이 부대표단을 이뤘다. 새누리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장을 지낸 4선 중진 이주영 의원도 국회에 와 있다. 또 홍문종 전 사무총장, 김재원 전 전략기획본부장 등 당시 임명된 당직자 상당수가 친박계 의원이었다. 최 부총리를 중심으로 일사분란하게 현 정부의 국정철학을 지원했다는 평가를 받던 진용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들은 쟁점 현안을 놓고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경우가 있어 응집력이 예전만 못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다수의 친박계 의원들이 최 부총리가 귀환을 기다린 것은 이 때문이다. 친박계 한 초선 의원은 “지금까지 친박계 핵심 의원들이 항상 같은 목소리를 낸 것은 아니었다”며 “최 부총리를 통해 나오는 말은 박 대통령의 의중을 알리는 확실한 시그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 체제가 다시 마련돼 박 대통령과의 직통 체제가 공고해지면, 총선 공천권을 높고 친박계와 비박계가 본격적으로 힘싸움을 시작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물론 연말연시 쟁점법안 처리를 놓고 당·정·청이 강력한 공조를 발휘하고 있고, 당내에서도 계파를 초월한 응집력을 보이고 있어 당장 계파 갈등이 표면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이른바 ‘신박(新朴)’을 자처한 원유철 원내대표의 역할에 주목하기도 한다. 김무성 대표를 위시한 비박계와 최경환 부총리를 중심으로 한 친박계의 갈등이 예고되면서 원 원내대표가 양측의 ‘연대’를 이끌어낼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