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여야가 공무원 연금법 개정안을 놓고 막판까지 격론을 벌인 대목은 국민연금 소득 대체율 50% 표시 여부였습니다.
그렇다면 여야가 어떻게 최종 정리한걸까요.
오지예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 기자 】
지난 주말 여야 대표가 합의한 공무원 연금 개혁안입니다.
쟁점인 국민연금 소득 대체율 50% 인상 여부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이와 별도로 실무기구에서 이미 소득 대체율 50% 인상에 합의한 만큼, 국회 규칙에 포함시켜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로 인해 반나절 이상 대치했던 여야는 새정치연합의 새로운 중재안으로 협상에 물꼬가 트였습니다.
50%란 수치를 국회 규칙에서 명시하지 않고, 별도의 부속 서류, 즉 부칙에 담기로 한 겁니다.
여야가 극적 합의를 이룬 것 처럼 보이지만, 논란은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부칙의 법적 효력 여부 때문입니다.
50%란 수치는 규칙의 하위 개념이라 강제성이 없다는 새누리당과 명문화에 성공한 만큼 실효성이 있다는 새정치연합의 2라운드 공방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MBN뉴스 오지예입니다.
여야가 공무원 연금법 개정안을 놓고 막판까지 격론을 벌인 대목은 국민연금 소득 대체율 50% 표시 여부였습니다.
그렇다면 여야가 어떻게 최종 정리한걸까요.
오지예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 기자 】
지난 주말 여야 대표가 합의한 공무원 연금 개혁안입니다.
쟁점인 국민연금 소득 대체율 50% 인상 여부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이와 별도로 실무기구에서 이미 소득 대체율 50% 인상에 합의한 만큼, 국회 규칙에 포함시켜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로 인해 반나절 이상 대치했던 여야는 새정치연합의 새로운 중재안으로 협상에 물꼬가 트였습니다.
50%란 수치를 국회 규칙에서 명시하지 않고, 별도의 부속 서류, 즉 부칙에 담기로 한 겁니다.
여야가 극적 합의를 이룬 것 처럼 보이지만, 논란은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부칙의 법적 효력 여부 때문입니다.
50%란 수치는 규칙의 하위 개념이라 강제성이 없다는 새누리당과 명문화에 성공한 만큼 실효성이 있다는 새정치연합의 2라운드 공방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MBN뉴스 오지예입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