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살 취업준비생 A 씨는 잇따라 취업에 실패하면서 자신감이 떨어지고, 우울증 증상이 심해졌습니다.
A 씨는 대학생 시절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장기화하면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습니다.
처음에는 자유로운 생활이 좋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외로움과 우울감이 심해졌습니다. 특히, 졸업 이후 계속되는 취업실패로 인한 격심해진 우울증으로 결국 병원으로부터 약 처방을 받고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청년 우울증 적신호…20대 환자 증가
경기불황과 취업 불안으로 우리나라 청년들이 우울증 등으로 정신건강화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보건복지부의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년 중 32.1%가 우울 위험군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22.9%에 비해 9.2%포인트 증가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서도 전체 우울증 환자 중 20, 3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8년 26%에서 2022년 36%로 증가했습니다.
20대 우울증 환자 수는 2017년 7만 6,246명에서 2021년 17만 3,745명으로 4년 사이 무려 45.7% 증가했습니다.
특히, 20대 여성 환자가 12만 3,592명으로 20대 남성 환자 4만 172명보다 3배나 더 많았습니다.
부산 온종합병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수진 과장은 "우리나라 청소년 5명 중 1명은 한 번 이상 우울장애, 불안장애 등 정신장애를 겪어본 것으로 나타났지만 치료·상담 등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해 본 청소년 비율은 5.6%에 그쳤다"고 지적했습니다.
은둔 청년 34만여 명…우울한 기분이 2주 이상 지속한다면
이들은 외려 외부와 단절한 채 살아가고 있다는 겁니다.
보건복지부가 2023년 말 공개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 자료에서는 국내 고립·은둔 청년을 34만여 명으로 집계하고 있고, 이 중 14만여 명은 은둔 상태가 장기화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년 우울증은 청년들이 겪는 우울 장애를 의미합니다. 우울한 기분이 2주 이상 지속한다면 우울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우울증의 대표증상으로는 △슬픔 △허무감 △매사에 의욕 저하 △갑작스러운 분노 폭발 △불면이나 과다 수면 △폭식 △불안 초조 △집중력 저하 △생각이나 인체반응이 느려지거나 우유부단 △과거에 대한 후회나 죄의식 등의 10가지.
이들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2주 이상 지속한다면 우울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2025년부터 20∼34세의 청년 2년 주기 정신건강검사
청년 정신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스트레스관리와 규칙적인 생활습관이 중요합니다.
학업, 취업, 인간관계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운동, 명상, 취미활동 등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 꾸준히 실천해야 합니다.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식사, 적절한 휴식 등 규칙적으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일도 정신건강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정부는 최근 '일반건강검진 내 정신건강검사' 확대방안을 발표하고, 2025년부터 20∼34세의 청년들이 2년 주기로 일반건강검진을 받을 때마다 정신건강검사를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지금까지는 10년 주기로 일반건강검진 시 우울증 검사를 실시해왔습니다.
중증 정신질환이 주로 처음 발병하는 청년기에 주기적인 정신건강검진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만성화를 예방하겠다는 겁니다.
우울장애, 조현병스펙트럼, 양극성장애 등 주요 정신질환의 발병 중위연령이 20, 30대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온종합병원 정신건강증진센터 김상엽 소장은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은 12.1%에 불과하여 다른 국가보다 현저히 낮고, 청년층의 경우도 16.2% 수준에 그친다”면서 “향후 2년마다 청년들을 대상으로 정신검진을 실시함으로써 정신질환의 미치료기간을 단축시켜, 정신질환 증상 초발 후 최대한 빠른 발견과 치료 개입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정부의 청년 정신건강검진 실시 주기 단축 조치를 반겼습니다.
[ 안진우기자 tgar1@mbn.co.kr ]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