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 생기는 이유, 배변 참는 습관 계속되면 '욕구 자체도 사라진다?'…'배변 쉽게보는 방법!'
변비가 생기는 이유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먼저 배변을 참는 습관이 반복되면 변비가 될 수 있습니다.
참는 버릇은 대장의 감각을 둔화시키고 점차 배변 욕구 자체도 사라지게 합니다.
심하면 배변 욕구를 아예 인지할 수 없게 되기도 하므로 변의가 느껴지면 바로 해결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1) 화장실 가고 싶을 때 참는다.
출근을 서두르거나 바쁜 직장인의 경우 변비가 오기 쉬운데 이유는 화장실 가고 싶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미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배변을 참는 습관이 반복되면 변비가 될 수 있으며, 참는 버릇은 대장의 감각을 둔화시키고 점차 배변 욕구 자체도 사라지게 합니다.
심하면 배변 욕구를 아예 인지할 수 없게 되기도 하므로 변의가 느껴지면 바로 해결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2) 화장실에 책이나 신문을 들고 간다.
대변이 시원스럽게 나오지 않는다고 화장실에서 신문이나 책을 보는 것은 변비에 좋지 않습니다.
10분 이상 변기에 앉아 있으면 항문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져 항문 건강이 나빠지게 됩니다.
배변 시간은 3분 정도가 적당하며, 이 이상 힘을 주면 치질이 되기 쉬우므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과감히 변기에서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3) 몸에 끼는 보정속옷을 늘 착용한다.
꽉 끼는 보정 속옷이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꽉 끼는 속옷은 배변 활동을 조절하는 부교감 신경의 활동을 억제해 대장 내 소화액분비가 줄어들게 하고, 작은창자에서 음식을 부숴 밀어내는 힘 역시 악화시켜 음식물 찌꺼기가 대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길어지게 합니다.
변비가 심하다면 꽉 끼는 보정속옷은 피하도록 하고, 잘 때만이라도 편안한 옷으로 몸을 자유롭게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4) 평소 물을 잘 마시지 않는다.
우리 몸에 물이 부족할 경우 대변에 함유된 수분이 거꾸로 장 속으로 흡수되게 되고, 그 결과 딱딱한 변이 됩니다.
딱딱한 변은 직장과 항문을 통과하기 어려워 배변할 때 통증은 물론 항문에 상처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변비 환자들은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공복에 마시는 미지근한 물을 한잔 마시는 것이 도움되며 하루 8~10컵의 물을 마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되도록 미온수나 녹차, 둥굴레차 등을 마시고 장내 가스를 만드는 탄산음료나 이뇨작용이 강한 커피, 홍차 등은 몸속의 수분을 배출해버리는 작용을 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하루에 한 번은 꼭 변을 봐야 한다.
변비란 변이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장에 머물며 배설되지 못하는 상태로 △배변횟수가 일주일에 3회 이하이거나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 △변이 매우 단단하다△ 배변 후 잔변감 △배변 시 항문에서 막히는 느낌 △변을 손으로 파내는 등 배변을 위한 조작이 필요함 등 만성적(최근 6개월 중 3개월 이상)으로 위 증상 중 2가지 이상을 호소하는 경우를 기능성 변비로 진단합니다.
배변량은 개인별로 차이가 크므로 아무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면 하루에 한 번 배변을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6) 습관적으로 변비약을 복용한다.
하루 이틀 기다려서 배변이 되지 않는다고 바로 변비약을 복용하는 습관은 장 건강의 최대 적입니다.
처음에는 효과가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내성이 생겨 장을 더 자극하기 위해 변비약을 늘리게 되는데, 변비약의 만성적 복용은 장의 기능을 둔화시켜 나중에는 약 없이는 스스로 운동할 수 없는 상황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변비약은 꼭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의해 사용해야 합니다.
7) 속이 더부룩해 먹는 양을 줄인다.
대장은 어느 정도 변이 차야 스스로 운동해 변을 바깥으로 내보내려 하며, 그 운동성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이는 조금만 먹어도 바로 변을 내보내려 운동하는 반면, 어떤 이는 충분한 양을 먹었을 때만 겨우 운동을 시작합니다.
변비가 생기면 속이 더부룩하고 불쾌한 복부 팽만감 때문에 음식 섭취를 줄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변비에 더 좋지 않습니다.
변비나 기타 장애로 대장의 운동성이 떨어진 사람의 경우 대장이 밀어내는 운동을 더 열심히 하도록 음식량을 늘려야 합니다.
섬유소가 풍부한 채소, 열량이 적은 해조류의 섭취량을 높이는 것이 도움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변비가 생기는 이유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먼저 배변을 참는 습관이 반복되면 변비가 될 수 있습니다.
참는 버릇은 대장의 감각을 둔화시키고 점차 배변 욕구 자체도 사라지게 합니다.
심하면 배변 욕구를 아예 인지할 수 없게 되기도 하므로 변의가 느껴지면 바로 해결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1) 화장실 가고 싶을 때 참는다.
출근을 서두르거나 바쁜 직장인의 경우 변비가 오기 쉬운데 이유는 화장실 가고 싶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미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배변을 참는 습관이 반복되면 변비가 될 수 있으며, 참는 버릇은 대장의 감각을 둔화시키고 점차 배변 욕구 자체도 사라지게 합니다.
심하면 배변 욕구를 아예 인지할 수 없게 되기도 하므로 변의가 느껴지면 바로 해결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2) 화장실에 책이나 신문을 들고 간다.
대변이 시원스럽게 나오지 않는다고 화장실에서 신문이나 책을 보는 것은 변비에 좋지 않습니다.
10분 이상 변기에 앉아 있으면 항문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져 항문 건강이 나빠지게 됩니다.
배변 시간은 3분 정도가 적당하며, 이 이상 힘을 주면 치질이 되기 쉬우므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과감히 변기에서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3) 몸에 끼는 보정속옷을 늘 착용한다.
꽉 끼는 보정 속옷이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꽉 끼는 속옷은 배변 활동을 조절하는 부교감 신경의 활동을 억제해 대장 내 소화액분비가 줄어들게 하고, 작은창자에서 음식을 부숴 밀어내는 힘 역시 악화시켜 음식물 찌꺼기가 대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길어지게 합니다.
변비가 심하다면 꽉 끼는 보정속옷은 피하도록 하고, 잘 때만이라도 편안한 옷으로 몸을 자유롭게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4) 평소 물을 잘 마시지 않는다.
우리 몸에 물이 부족할 경우 대변에 함유된 수분이 거꾸로 장 속으로 흡수되게 되고, 그 결과 딱딱한 변이 됩니다.
딱딱한 변은 직장과 항문을 통과하기 어려워 배변할 때 통증은 물론 항문에 상처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변비 환자들은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공복에 마시는 미지근한 물을 한잔 마시는 것이 도움되며 하루 8~10컵의 물을 마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되도록 미온수나 녹차, 둥굴레차 등을 마시고 장내 가스를 만드는 탄산음료나 이뇨작용이 강한 커피, 홍차 등은 몸속의 수분을 배출해버리는 작용을 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하루에 한 번은 꼭 변을 봐야 한다.
변비란 변이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장에 머물며 배설되지 못하는 상태로 △배변횟수가 일주일에 3회 이하이거나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 △변이 매우 단단하다△ 배변 후 잔변감 △배변 시 항문에서 막히는 느낌 △변을 손으로 파내는 등 배변을 위한 조작이 필요함 등 만성적(최근 6개월 중 3개월 이상)으로 위 증상 중 2가지 이상을 호소하는 경우를 기능성 변비로 진단합니다.
배변량은 개인별로 차이가 크므로 아무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면 하루에 한 번 배변을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6) 습관적으로 변비약을 복용한다.
하루 이틀 기다려서 배변이 되지 않는다고 바로 변비약을 복용하는 습관은 장 건강의 최대 적입니다.
처음에는 효과가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내성이 생겨 장을 더 자극하기 위해 변비약을 늘리게 되는데, 변비약의 만성적 복용은 장의 기능을 둔화시켜 나중에는 약 없이는 스스로 운동할 수 없는 상황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변비약은 꼭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의해 사용해야 합니다.
7) 속이 더부룩해 먹는 양을 줄인다.
대장은 어느 정도 변이 차야 스스로 운동해 변을 바깥으로 내보내려 하며, 그 운동성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이는 조금만 먹어도 바로 변을 내보내려 운동하는 반면, 어떤 이는 충분한 양을 먹었을 때만 겨우 운동을 시작합니다.
변비가 생기면 속이 더부룩하고 불쾌한 복부 팽만감 때문에 음식 섭취를 줄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변비에 더 좋지 않습니다.
변비나 기타 장애로 대장의 운동성이 떨어진 사람의 경우 대장이 밀어내는 운동을 더 열심히 하도록 음식량을 늘려야 합니다.
섬유소가 풍부한 채소, 열량이 적은 해조류의 섭취량을 높이는 것이 도움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