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폐암 유형 1위, 재발 유전자 발견…맞춤형 치료 '기대감 UP'
한국인 폐암 유형 1위가 화제입니다.
13일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폐암센터 장세진(병리과)ㆍ김형렬(흉부외과) 교수와 한양대학교 의대 공구 교수 그리고 서울대 자연과학대 백대현 교수 등으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은 RB 유전자 돌연변이가 수술 후 조기 폐암의 재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공동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서울아산병원에서 근치적 폐절제술을 받은 폐선암 환자 247명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 것입니다.
폐선암 △1기 157명 △2기 44명 △3기 40명 △4기 6명 등 총 247명 환자에서 얻은 각각의 폐암 조직과 정상 폐 조직을 대상으로 차세대 유전체 검사법인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해 유전체 모두를 동시에 비교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국내 폐암 환자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유형인 폐선암의 재발을 일으키는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가 처음으로 밝혀져 폐암 재발 예방의 단초를 찾는 데 성공했습니다. 유전자마커 발견으로 폐암 재발 예측과 맞춤 치료에 새 가능성을 제시한 것입니다.
폐암은 국내 사망률 1위의 암으로 최근에는 폐의 선(腺)세포에 생기는 '선암' 발병률이 국내 폐암 환자 중 40%를 차지합니다.
조기 폐선암의 경우 1기라 할지라도 10~20%는 수술 후 재발합니다.
지금까지 폐선암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특정 바이오마커는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연구결과 RB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가 폐암의 재발없이 지낼 확률은 20%로, RB 유전자에 변이가 없는 환자의 60%보다 훨씬 낮았습니다.
이번 돌연변이 유전자의 발견으로 폐선암 재발 예측과 표적 약물치료 등 폐선암의 맞춤형 치료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장세진 교수는 "총 247개의 폐선암종 유전체와 정상유전체를 함께 분석한 이번 연구는 폐암 유전체 단일연구로는 최대 규모"라며 "유전체 연구 결과의 임상적 응용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지원한 다부처 유전체사업의 지원으로 수행, 미래부가 지원한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의 지원으로 성료됐습니다. 또 미국 암연구학회(AACR)가 발간하는 '임상암연구' 최신호를 통해 발표됐습니다.
'한국인 폐암 유형 1위' '한국인 폐암 유형 1위' '한국인 폐암 유형 1위' '한국인 폐암 유형 1위'
한국인 폐암 유형 1위가 화제입니다.
13일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폐암센터 장세진(병리과)ㆍ김형렬(흉부외과) 교수와 한양대학교 의대 공구 교수 그리고 서울대 자연과학대 백대현 교수 등으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은 RB 유전자 돌연변이가 수술 후 조기 폐암의 재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공동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서울아산병원에서 근치적 폐절제술을 받은 폐선암 환자 247명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 것입니다.
폐선암 △1기 157명 △2기 44명 △3기 40명 △4기 6명 등 총 247명 환자에서 얻은 각각의 폐암 조직과 정상 폐 조직을 대상으로 차세대 유전체 검사법인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해 유전체 모두를 동시에 비교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국내 폐암 환자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유형인 폐선암의 재발을 일으키는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가 처음으로 밝혀져 폐암 재발 예방의 단초를 찾는 데 성공했습니다. 유전자마커 발견으로 폐암 재발 예측과 맞춤 치료에 새 가능성을 제시한 것입니다.
폐암은 국내 사망률 1위의 암으로 최근에는 폐의 선(腺)세포에 생기는 '선암' 발병률이 국내 폐암 환자 중 40%를 차지합니다.
조기 폐선암의 경우 1기라 할지라도 10~20%는 수술 후 재발합니다.
지금까지 폐선암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특정 바이오마커는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연구결과 RB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가 폐암의 재발없이 지낼 확률은 20%로, RB 유전자에 변이가 없는 환자의 60%보다 훨씬 낮았습니다.
이번 돌연변이 유전자의 발견으로 폐선암 재발 예측과 표적 약물치료 등 폐선암의 맞춤형 치료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장세진 교수는 "총 247개의 폐선암종 유전체와 정상유전체를 함께 분석한 이번 연구는 폐암 유전체 단일연구로는 최대 규모"라며 "유전체 연구 결과의 임상적 응용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지원한 다부처 유전체사업의 지원으로 수행, 미래부가 지원한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의 지원으로 성료됐습니다. 또 미국 암연구학회(AACR)가 발간하는 '임상암연구' 최신호를 통해 발표됐습니다.
'한국인 폐암 유형 1위' '한국인 폐암 유형 1위' '한국인 폐암 유형 1위' '한국인 폐암 유형 1위'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