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내년 3.5% 예측…환율 평균 1,360원 전망"
"경제성장률은 올해 2.6% → 내년 1.7% 둔화 전망"
"경제성장률은 올해 2.6% → 내년 1.7% 둔화 전망"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내년 상반기 중 연 3.75%까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8일 오후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2년 금융 동향과 2023년 전망 세미나'에 따르면 "국내 기준금리는 대외여건과 국내 물가 대응 필요성을 고려할 때 내년 상반기에 연 3.75%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연구원은 "한미 기준금리가 내년 초 정점을 찍은 후, 하반기 물가가 안정화되면 점차 인하 가능성이 시장금리에 반영되는 것이 기본 시나리오"라며 "미국의 인플레이션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준금리 경로에도 높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5.2%의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내년에 3.5%로 낮아질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연구원은 "소비자물가는 내년 상반기에도 공급자 측 물가 압력이 지속됨에 따라 개인 서비스 가격 인상 영향으로 높은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면서도 "하반기 들어 고금리에 따른 수요 둔화, 공급압력 완화 등으로 점차 상승세가 둔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유가, 글로벌 공급망, 지정학적 위험 등과 관련한 대외불확실성과 기대인플레이션 확산 가능성을 고려하면 내년 물가 경로도 하방보다 상방 위험이 높다고 봤습니다.
연구원은 또 "올해 연평균 환율은 1,305원을 기록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유럽중앙은행(ECB) 긴축 전환 등으로 달러 강세가 완화하겠지만, 현재 높은 수준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해 연평균 환율이 1,360원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정점 지연, 지정학적 위험 확대, 경상수지 악화 지속 등 위험 요인이 현실화하면 원/달러 환율은 추가 상승 압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경제성장률은 올해 2.6%에서 내년 1.7%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주요국의 긴축 정책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에 따른 경기 반등도 약화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4.5%, 내년 2.1%로 각각 전망했습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성장 및 고용 둔화, 자산 가격 하락, 가계부채 부담 등이 증가율 하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총수출과 총수입 증가율 또한 올해 3.4%와 3.6%로 낮아진 후 내년 중 1.0%와 1.7%까지 각각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재화 교역을 견인하던 정보기술(IT) 품목 수요는 약화하겠지만 서비스 교역은 여행제한 완화 등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았습니다.
또 내년에는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재화 교역을 견인하던 정보기술(IT) 품목 수요는 약화하지만, 서비스 교역은 여행제한 완화 등으로 증가할 것으로 봤습니다.
연구원은 "경상수지 흑자 폭이 올해 312억 달러로 축소된 이후, 내년에 326억 달러로 횡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거시경제정책은 물가의 상방 위험과 대외불확실성에 주로 기인한 성장의 하방 위험이 높다는 점에서 물가와 금융안정 등을 우선시해 우리 경제의 대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