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개인간) 금융시장이 지난해 주요 업체 사기 혐의 피소와 파산 등으로 얼룩진 와중에도 빠르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P2P금융협회의 회원사 대출 현황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회원사 52곳의 누적대출액은 약 3조179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 말 협회 누적대출액인 1조8034억원 대비 약 76%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협회에서 탈퇴한 뒤 마켓플레이스금융협의회를 꾸린 렌딧과 8퍼센트, 팝펀딩, 펀다 등 신용대출 전문 P2P업체의 누적대출액이 약 6700억원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업계 전체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P2P금융업계는 지난해 중소업체 '먹튀'와 대형업체 사기 혐의 등으로 몸살을 앓았다.
업계 3위였던 루프펀딩은 대표와 차주와 짜고 투자금 약 80억원을 엉뚱한 곳에 사용한 혐의로 검찰의 수사를 받아 대표가 교체됐고 업계 2위 피플펀드도 구조화 상품 문제로 검찰 수사 선상에 올랐다.
누적대출액 규모가 1300억원 선이던 아나리츠는 대표가 허위로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상품을 만들고 돌려막기를 한 혐의로 구속됐다. 폴라리스펀딩은 가짜 금괴와 보증서를 내세워 투자를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이처럼 업계의 신뢰도를 흔드는 사건이 연달아 벌어졌던 것을 고려하면 P2P금융시장이 두 배로 성장한 것은 예상치 못한 일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지난해 부동산 열풍과 플랫폼 다변화가 업계 성장을 이끈 요인으로 보고 있다.
한국P2P금융협회 내 지난해 말 부동산담보 누적대출액은 7천945억원으로, 전년 말(4728억원) 대비 68% 증가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누적대출액은 지난해 말 기준 9565억원으로, 전년 말(6095억원) 대비 57% 증가했다.
삼성페이와 카카오페이, 토스 등 핀테크 플랫폼에 P2P금융업체들이 탑재된 것도 이용자 수를 늘리는 데 큰 영향을 줬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기존 투자자와 비교하면 투자금액이 많지는 않지만, 이용자 저변이 넓어지고 있다"며 "한 번이라도 상환 경험을 쌓으면 추가 투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성장세가 올해도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우선 부동산 시장이 최근 거래 절벽 속에 빠르게 냉각 중이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부동산PF 상품이 부실해질 가능성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P2P금융업 법제화를 통해 업체 자격 요건 등이 엄격해질 가능성도 크다.
현재 P2P금융은 별도 법률이 없는 상태로, 금융위원회 가이드라인과 금융감독원의 연계 대부업체 관리를 통한 간접적인 통제만 이뤄지고 있다.
이에 당국은 P2P금융 법제화를 추진 중이다. 금융위와 금융연구원은 11일 업계 및 학계 관계자를 모아 공청회를 열고 P2P대출 법제화 관련 주요쟁점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4일 한국P2P금융협회의 회원사 대출 현황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회원사 52곳의 누적대출액은 약 3조179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 말 협회 누적대출액인 1조8034억원 대비 약 76%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협회에서 탈퇴한 뒤 마켓플레이스금융협의회를 꾸린 렌딧과 8퍼센트, 팝펀딩, 펀다 등 신용대출 전문 P2P업체의 누적대출액이 약 6700억원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업계 전체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P2P금융업계는 지난해 중소업체 '먹튀'와 대형업체 사기 혐의 등으로 몸살을 앓았다.
업계 3위였던 루프펀딩은 대표와 차주와 짜고 투자금 약 80억원을 엉뚱한 곳에 사용한 혐의로 검찰의 수사를 받아 대표가 교체됐고 업계 2위 피플펀드도 구조화 상품 문제로 검찰 수사 선상에 올랐다.
누적대출액 규모가 1300억원 선이던 아나리츠는 대표가 허위로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상품을 만들고 돌려막기를 한 혐의로 구속됐다. 폴라리스펀딩은 가짜 금괴와 보증서를 내세워 투자를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이처럼 업계의 신뢰도를 흔드는 사건이 연달아 벌어졌던 것을 고려하면 P2P금융시장이 두 배로 성장한 것은 예상치 못한 일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지난해 부동산 열풍과 플랫폼 다변화가 업계 성장을 이끈 요인으로 보고 있다.
한국P2P금융협회 내 지난해 말 부동산담보 누적대출액은 7천945억원으로, 전년 말(4728억원) 대비 68% 증가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누적대출액은 지난해 말 기준 9565억원으로, 전년 말(6095억원) 대비 57% 증가했다.
삼성페이와 카카오페이, 토스 등 핀테크 플랫폼에 P2P금융업체들이 탑재된 것도 이용자 수를 늘리는 데 큰 영향을 줬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기존 투자자와 비교하면 투자금액이 많지는 않지만, 이용자 저변이 넓어지고 있다"며 "한 번이라도 상환 경험을 쌓으면 추가 투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성장세가 올해도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우선 부동산 시장이 최근 거래 절벽 속에 빠르게 냉각 중이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부동산PF 상품이 부실해질 가능성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P2P금융업 법제화를 통해 업체 자격 요건 등이 엄격해질 가능성도 크다.
현재 P2P금융은 별도 법률이 없는 상태로, 금융위원회 가이드라인과 금융감독원의 연계 대부업체 관리를 통한 간접적인 통제만 이뤄지고 있다.
이에 당국은 P2P금융 법제화를 추진 중이다. 금융위와 금융연구원은 11일 업계 및 학계 관계자를 모아 공청회를 열고 P2P대출 법제화 관련 주요쟁점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