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폭이 반년째 10만명대 이하에 그친 가운데 지난달 증가율은 0.0%까지 하락했다.
실업자가 100만 명을 넘는 상황은 7개월째 이어졌다. 외환위기의 후폭풍이 끝나갈 무렵인 2000년 초 이후 최장이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18년 7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08만3000명으로 작년 7월보다 5000명(0.0%) 늘었다.
이런 증가 폭은 한국경제가 금융위기 영향권에 있던 2010년 1월에 마이너스 1만 명을 기록한 후 8년 6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취업자 증가폭은 올해 2월 10만4000명, 3월 11만2000명, 4월 12만3000명, 5월 7만2000명, 6월 10만6000명 등에 이어 6개월째 10만 명대 이하를 기록했다. 지난해 월평균 증가폭인 31만6000명과는 극명하게 대비된다.
최근 일자리 상황은 금융위기 직후에 버금가는 것으로 평가된다. 금융위기 당시에는 2008년 9월∼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으로 취업자 증가 폭이 10만 명대 이하를 기록했고 취업자 수가 감소한 적도 있다.
7월 취업자 증감을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4만9000명, 7.7%), 금융 및 보험업(6만7000명, 8.6%),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6만6000명, 6.1%) 등을 빼면 대부분 업종의 상황이 좋지 않았다.
비교적 좋은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 취업자는 12만7000명(2.7%) 줄어 전달(-12만6000명)보다 감소 폭이 커졌다.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 자동차 업종 등에서 많이 줄었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도 10만1000명이나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4년 1월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이 업종은 인력 공급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줄었다. 인력을 공급받는 다른 산업의 고용 상황이 좋지 않은데다 최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영향으로 인력 알선을 통한 간접 고용이 줄어든 영향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폭염에 철로 스프링클러 작동` [사진제공 = 연합뉴스]
자영업자가 많은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의 취업자는 각각 3만8000명, 4만2000명 줄었다. 경기 부진에 폭염까지 겹치며 더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도·소매업은 8개월째, 숙박·음식점업은 14개월째 감소세에 빠져 있다.교육서비스업은 학령인구 감소 영향으로 7만8000명 줄었다. 부동산업도 4만 명 줄며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구조조정 여파로 노동시장의 허리 역할을 하는 40대 취업자가 14만7000명 줄었다. 이런 감소폭은 1998년 8월 15만2000명 줄어든 뒤로는 가장 컸다.
통계청 측은 일부 자영업에서 40대 취업자가 줄었지만 대부분 도소매업, 숙박업, 제조업 등에서 임시직 위주로 많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종사상 지위로 구분하면 임금근로자 중에는 상용근로자가 27만2000명 늘었지만 증가 폭은 전달(36만5000명)보다 크게 쪼그라들었다.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각각 10만8000명, 12만4000명 줄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7만2000명 증가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는 각각 10만2000명, 5000명 감소했다.
영세 자영업자가 다수 포함된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지난해 11월 이후 9개월째 줄고 있다.
7월 고용률은 61.3%로 1년 전보다 0.3% 포인트 낮아졌다.
2015년 4월 0.3% 포인트 하락한 후 최근 3년 3개월 사이에는 지난달 낙폭이 가장 컸다.
반면 실업자는 103만9000명으로 작년 7월보다 8만1000명 늘었다. 이로써 실업자는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7개월 연속 100만 명을 웃돌았다.
실업자 수가 7개월 이상 연속으로 100만 명을 넘은 것은 1999년 6월∼2000년 3월에 이어 18년 4개월 만의 일이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과 비교하면 0.3% 포인트 상승했다. 7월 기준으로는 2010년 3.7% 이후 가장 높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9.3%로 1년 전과 같았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1.5%로 1년 전보다 0.6% 포인트,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은 22.7%로 0.1% 포인트 각각 높아졌다.
지난달 주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주당평균 취업시간은 1년 전보다 1.7시간 줄어든 41.5시간으로 집계됐다.
취업시간이 54시간 이상인 취업자는 115만 명 줄어드는 등 장시간 노동자의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44시간 이하 노동자는 늘어나는 모습이 관측됐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