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안전성과 효능을 검증하는 인체 대상 임상시험의 부작용으로 숨지거나 입원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0일 공개한 '임상시험 중 발생 이상 반응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이후 올해 6월까지 보고된 임상시험 중 사망자는 82명에 달했으며 생명의 위험으로 입원한 사람은 1168명에 육박했다.
연도별 임상시험 사망자와 입원자는 2012년 10명(입원 156명), 2013년 10명(137명), 2014년 9명(218명), 2015년 16명(222명), 2016년 21명(288명), 2017년 1∼6월 16명(147명)이다.
제약사는 개발 중인 신약을 임상시험하려면 개발계획과 임상시험계획서를 제출해 식약처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임상시험 건수는 2015년 기준으로 세계 7위 수준이다. 서울은 2013년 기준 세계에서 임상시험 규모가 가장 큰 도시다.
참여연대는 지난 2015년 '임상시험의 숨겨진 진실, 국민이 마루타인가'란 주제로 강연을 열어 무분별한 임상시험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참여연대는 "임상시험 참가자에 돈을 많이 주는 것은 그만큼 위험하기 때문"이라며 "저소득층 국민이나 대학생에게 임상시험을 권하는 것은 비인간적인 만큼 정부의 임상시험 확대 방안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자유한국당)은 "식약처는 임상시험 승인요건을 엄격한 기준으로 재정비하고, 시험과정에서 인권 침해 요소가 없는지 조사해 부작용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주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