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10년 안에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한국 점유율을 5%까지 키우겠다는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를 발표했다. 2015년 1.7%(27조원)였던 점유율을 2025년 5%(152조원)까지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열고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확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혁신전략은 △바이오 연구개발(R&D) 혁신 △바이오경제 창출 △국가생태계 기반 조성 등 3대 전략과 9대 중점과제를 기본으로 한다. 정부는 이 같은 전략을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올해 연구개발·인프라·인력양성에 총 3조 1139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먼저 바이오 R&D 혁신을 위해 합성생물학,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자 교정 등 미래 유망분야에서 '글로벌 최초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우선적으로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을 창출하기 위해 1조원 신약 5개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로 후보물질 100개 발굴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신부가가치 그린 바이오 육성, 미세먼지 저감과 안전한 화학대체소재 개발 등 전략적 R&D 투자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바이오 R&D 지원 건수를 2015년 7000건 수준에서 2025년 1만건까지 늘리고, 치매 극복(400억), 감염병 대응(1170억), 미세먼지 대응 등 환경난제 해결(660억), 친환경 바이오소재 개발(250억) 등 구체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R&D 예산을 배정한다.
바이오 기술을 기반으로 2025년까지 관련 신규 일자리 12만개를 만들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2015년 2만6000개였던 바이오기술 기반 일자리를 오는 2025년에 약 14만5000개까지 늘리겠다는 것이다. 신규 벤처 1250개, 기술특례상장기업 30개를 육성해 4만명의 일자리를 확보하고 글로벌 기업 4개와 클러스터 2개를 구축해 8만명의 일자리를 마련한다는 게 구체적인 구상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흩어져 있는 바이오 클러스터를 연계해 광역 클러스터망을 형성하고, 창업이나 사업화, M&A 등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국가 생태계 기반을 닦기 위해 바이오특별위원회 컨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해 국가 차원의 혁신 구심점을 확보할 예정이다. 혁신기술 개발 활용을 촉진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바이오특위에서는 바이오 규제개선 TF를 발족하고, 범부처 규제 개선을 검토, 추진하게 된다.
이석래 과기정통부 생명기술과장은 "이번 TF에서 생명윤리 규제, 임상이나 의료에 대한 안전 규제 등 전반적인 바이오 연구에 제약이 되는 장애물이 있는지 살펴보고 개선하겠다"며 "10월부터 과학계에 생명윤리 문제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하고 복지부와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생명공학육성법에 개선할 점이 있으면 고쳐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윤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