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부실기업인 '좀비기업'이 낮은 금리와 정책금융 지원으로 연명하면서 우리나라 경제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들 기업이 한국 경제의 역동성을 갉아먹고 있는 만큼 부실기업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정대희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이 18일 펴낸 '부실기업 구조조정 지연의 부정적 파급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기업 가운데 좀비기업의 비중은 15.6%로 지난 2010년의 13%에 비해 2.6%포인트가 증가했다.
좀비기업은 저금리나 정책금융 지원 등으로 퇴출이 지연되고 있는 잠재 부실기업을 뜻한다. 한 해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고 있지만 만기연장·이자보조 등으로 연명하고 있는 기업으로 정의된다.
이같은 좀비기업의 증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기관들이 부실기업에 대한 대출 만기연장·신규 지원에 관용적이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만기연장을 받은 좀비기업의 비중은 2010년과 비교해 2013년 2.2%포인트가 증가했다.
특히 조선업 등 기타운송장비, 건설업 등의 산업을 중심으로 좀비기업 비중이 증가했다. 좀비기업 비중은 기타운송장비가 2010년 7.1%에서 2013년 26.2%로 확대됐고, 건설업은 같은 기간 26.3%에서 41.4%로 커졌다.
이처럼 한국 경제의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정상적인 기업들의 생산활동이 저해되는 실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 산업의 좀비기업 자산 비중이 10%포인트 높아지면 해당 산업에 속한 정상적인 기업의 고용증가율은 0.53%포인트, 투자율은 0.18%포인트가 하락한다.
좀비기업이 증가할수록 제조업에서는 투자에, 서비스업에서는 고용증가율에 각각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 연구위원은 "기업부문의 구조조정이 지체되는 현상이 지속되면 우리 경제의 역동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며 "경제 전반의 역동성 제고를 위해 금융지원 관행을 개선해 기업 구조조정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승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