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1%에서 3.9%로 0.2%포인트 낮췄다. 정부가 내놓은 41조원 규모 경기부양책과 기준금리 인하·주택시장 정상화 대책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제하고 추정한 수치다.
금융연은 6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하반기 경제전망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금융연은 정부가 내놓은 41조원 규모 경기부양책이 성장률을 0.15%포인트 끌어 올리고, 기준금리 인하·주택시장 정상화 대책이 0.05%포인트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정책 효과를 제외한 성장률 전망치는 3.7% 수준으로, 회복 속도가 애초 예상보다 더딘 편이라고 진단했다. 금융연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는 기획재정부(3.7%)와 한국은행(3.8%)보다 높은 수준이다.
박성욱 금융연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세월호 사고 여파로 상반기 성장세가 부진했으나, 하반기에는 새 경제팀의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 선진국 경기 회복 등에 힘입어 부진을 일부 만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실장은 미국 등 선진국으로의 수출이 회복되고 정책 효과로 내수가 개선되면 하반기 성장률이 4.0%(전년 동기 대비)로 개선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3.7%였다.
또한 지난 5월 경제전망 때 금리 동결론을 주장했던 금융연은 경기회복에 도움이 되도록 기준금리를 내리고 금융중개지원대출을 완화해야 한다는 쪽으로 돌아섰다.
박 실장은 "전망치를 3.9%로 제시했지만 하방 위험이 크다"면서 "경제심리 위축도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어 기준금리 등 통화정책을 추가 완화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하반기 경기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대폭 인하할 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박 실장은 평가했다.
소비자물가는 연간 1.6% 올라,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범위(2.5∼3.5%)에 못 미치는 낮은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원자재·농산물 가격이 안정된 데다 원화가치 상승과 내수 부진으로 물가 하방 압력이 크다는 분석이다.
윤창현 금융연 원장은 "애초에 물가안정 목표를 밴드로 설정한 것은 물가상승률이 하단에 이르지 못했을 때 (정책적으로) 뭔가 해야한다는 의미를 가진게 아니었겠냐"며 "한은은 현재의 낮은 물가상승률이 문제 없다고만 할게 아니라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한다"고 주문했다.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