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상황에 대응하거나 헬스케어에 활용되는 로봇 기술개발이 본격화된다. 로봇제품을 자동차나 의료.재활산업의 수요와 융합하는 기술개발 로드맵도 만들어진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부터 5년간 2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해 급성장하는 로봇산업에 대응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로봇산업정책협의회를 열고 '제2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2차 기본계획은 2009년 수립된 1차 기본계획의 후속조치다. 1차 계획이 로봇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뒀다면 2차 계획은 실제 기술을 만드는 데 방점을 찍었다.
먼저 재난대응로봇이나 헬스케어로봇 등 향후 성장가능성이 높은 서비스용 로봇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재난대응로봇은 2012년 글로벌 시장규모가 6억달러였으나 2016년 8억7000만달러로, 헬스케어로봇은 같은 기간 400만달러에서 1억6000만달러로 급성장이 전망된다.
엄찬왕 산업부 기계로봇과장은 "상용화되지 않은 분야에 대한 핵심기술을 선점하도록 글로벌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선도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로봇기술을 다른 산업과 접목시키는 기술도 확산된다. 예를 들어 로봇산업을 재활산업과 융합해 하반신이 마비된 환자의 자가보행을 돕는 로봇이 상용화되는 식이다. 산업부는 특히 국내에서 생산된 로봇제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도록 국제표준을 반영한 기술을 선도적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일반인들에게 다소 생소하지만 로봇시장은 이미 국내에서도 상당한 시장이 조선된 상태로 향후 성장 가능성도 풍부하다. 작년 한국의 로봇시장 규모는 2조2000억원인데 2018년에는 7조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정부는 관측했다. 7400억원이던 지난해 로봇 수출액은 2018년 2조5000억원으로 오를 예상된다. 국내에 포진한 로봇기업 수도 400개에서 600개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부는 향후 2조6000억원의 재원을 로봇산업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와 민간이 비슷한 수준인 1조1000억원, 1조2000억원을 쏟고 지자체가 3000억원을 공동으로 투자키로 했다. 엄찬왕 과장은 "로봇산업의 도약을 위해선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타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기반한 수요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1차 계획의 평가도 나왔다. 당시 계획에 따라 5년간 로봇산업 개발을 이끈 결과 2008년 9000억원이던 국내 시장규모는 2배 수준으로, 로봇산업 종사자수는 6000명에서 1만1400명으로 늘었다. 로봇산업에 필요한 법제도나 기관 등의 기본 인프라는 조성됐다는 점은 호평을 받았지만 개방형 로봇산업의 생태계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도 제기돼 2차 계획에 한국 로봇산업 성패가 달려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김유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