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사회통합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0ECD) 30개 회원국 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명호 한국외국어대 경제학과 교수가 8일 한국경제학회에 '지표를 활용한 한국의 경제사회발전 연구: OECD 회원국과의 비교분석' 논문을 발표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1995년 21위였던 한국의 사회통합지수는 15년 뒤인 2009년 24위로 3계단 떨어졌다.
특히 사회통합지수를 구성하는 안전 및 관용사회 부문(31개 회원국 대상)은 최하위권을 차지했다.
안전 부문(실업률·노령자에 대한 사회지출·노령 고용률·도로사망률·건강지출비율·자살률·10만 명당 수감자 수) 순위는 1995년 25위에서 2009년 31위로 내려가 OECD 꼴찌를 기록했다.
관용사회 부문(장애인노동자 관련 법률 수·타인에 대한 관용·외국인비율) 순위도 같은 기간 25위에서 31위로 떨어졌다.
그 외 자유 부문(언론자유지수·경제자유지수)은 23위에서 26위로, 저출산·고령화 부문(출산율·고령화 인구 비율)은 4위에서 13위로 떨어졌다.
박 교수는 "한국은 사회통합과 환경 분야가 모두 경제 분야에 견줘 뒤처지고 있다"며 "이를 극복할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이 진정한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소득수준을 높이는 것 뿐 아니라 타인에 대한 관용과 존중 등을 통해 사회통합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매경닷컴 속보부 / 사진 출처 : 매일경제DB]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