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온전한 형태로는 처음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소식…학계 눈길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이 화제다. 한반도에서 초낭이 온전한 형태로 확인된 건 처음이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전북문화재연구원은 한반도 최고(最古)·최대(最大) 수리시설로 알려진 벽골제에 대해 올해 용골 마을 지역에서 발굴 조사를 한 결과 제방 동쪽 부분에서 보축 제방(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에 설치한 보강 시설)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보축 제방 성토층 하부에서 초낭이 다수 발견됐다. 초낭은 일본 가메이 유적(7~8세기) 등지에서 확인된 적이 있다. 남서-북동 방향으로 열을 맞춰 배치된 초낭은 연약한 지반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됐다.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 결과 7세기 전후 통일신라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원은 "삼국사기를 보면 원성왕 6년(790)에 전주 등 7개 주(州) 사람들에게 벽골제를 증·수축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며 "초낭은 이때의 시설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초낭에서는 흙과 함께 볍씨, 복숭아씨도 출토됐다. 또 그 아래층에선 담수(淡水) 지표종(指標種)이면서 한해살이 물풀인 마름이 발견됐다.
연구원은 "마름은 벽골제가 과거 담수지(淡水池)였음을 추측해 볼 수는 단서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보축 제방 규모는 길이 약 75m, 너비 약 34m이고, 성토층 최대 잔존 높이는 160㎝다. 현장 설명회는 13일 열린다.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소식…학계 눈길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이 화제다. 한반도에서 초낭이 온전한 형태로 확인된 건 처음이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전북문화재연구원은 한반도 최고(最古)·최대(最大) 수리시설로 알려진 벽골제에 대해 올해 용골 마을 지역에서 발굴 조사를 한 결과 제방 동쪽 부분에서 보축 제방(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에 설치한 보강 시설)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보축 제방 성토층 하부에서 초낭이 다수 발견됐다. 초낭은 일본 가메이 유적(7~8세기) 등지에서 확인된 적이 있다. 남서-북동 방향으로 열을 맞춰 배치된 초낭은 연약한 지반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됐다.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 결과 7세기 전후 통일신라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원은 "삼국사기를 보면 원성왕 6년(790)에 전주 등 7개 주(州) 사람들에게 벽골제를 증·수축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며 "초낭은 이때의 시설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초낭에서는 흙과 함께 볍씨, 복숭아씨도 출토됐다. 또 그 아래층에선 담수(淡水) 지표종(指標種)이면서 한해살이 물풀인 마름이 발견됐다.
연구원은 "마름은 벽골제가 과거 담수지(淡水池)였음을 추측해 볼 수는 단서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보축 제방 규모는 길이 약 75m, 너비 약 34m이고, 성토층 최대 잔존 높이는 160㎝다. 현장 설명회는 13일 열린다.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김제 벽골제 초낭 확인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