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2~3년 사이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조선, 석유화학 등 중국을 진원지로 한 새로운 불황기가 점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KEB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3일 이 같이 내용이 포함된 '2018년 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중국 경쟁력 상승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시점을 예측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올해 자동차를 시작으로 2018년 OLED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2020년 반도체, 석유화학, 조선 등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 대부분이 연쇄적인 중국발(發) 불황기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주완 연구위원은 "LED, 철강, LCD, 휴대폰, 이차전지 등은 이미 중국의 경쟁력 강화로 장기불황을 겪고 있는데 앞으로 자동차, OLED, 반도체, 석유화학, 조선 등도 이들 산업과 유사한 처지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과거 중국의 위협은 양적 확장에 따른 공급과잉 유발이 대부분이었는데 앞으로 다가올 중국의 위협은 양적, 질적 성장을 포함하고 있어 이전보다 리스크의 질이 더욱 안 좋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2018년 하반기부터 중국 기업들의 LCD, OLED, NAND, DRAM 공장들이 순차적으로 완공되기 시작하는데 생산규모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현재 건설 중인 중국 LCD 공장이 모두 완공되면 증설 물량이 LG디스플레이 총 생산능력의 50%에 해당하고, 내년에 완공되는 중국 반도체 공장의 생산능력은 삼성전자 총 생산능력의 20%에 달한다"며 이 연구위원은 우려를 표했다.
또 올해 한국 경제를 이끌었던 수출과 설비투자가 내년에는 큰 기여를 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올해 수출의 경우 2015~2016년 2년간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를 배제할 경우 2014년 실적을 소폭 상회하는 수준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반도체, 원유, 금속 등의 가격효과를 제거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생산능력, 가동률, 출하, 재고 등 생산의 실질적인 요소들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에서 기저효과마저 소멸하게 됨에 따라 2018년 수출은 급격히 둔화될 수밖에 없고 설비투자 역시 규모로는 거의 올해 수준을 유지하겠지만 기저효과로 인해 증가율은 매우 낮거나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그는 예상했다.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