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2위 공조업체인 한라비스테온공조의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로의 매각 여부가 12일(미국 현지시간) 결정된다. 국내 자동차 공조시장 중 50%를 차지하는 과점업체 매각으로 자동차업계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한상원 한앤컴퍼니 대표(사진)는 11일 기자와 만나 “중국 기업에는 절대 안 판다”며 “제2의 쌍용차 매각 같은 기술유출 사태 발생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PEF의 한라비스테온공조 인수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아진 상황에서도 줄곧 침묵을 지켜오다 막판 진화작업에 나서는 모습이다.
한라비스테온공조 대주주인 미국 비스테온그룹은 12일(현지시간) 이사회를 열어 한라비스테온공조 매각 여부를 결정한다. 비스테온은 1997년 한라그룹에서 한라비스테온공조를 사들인 후 추가 지분 매입 비용을 합쳐 총 220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매각가로 알려진 3조9000억원으로 계산하면 20배 가까운 투자 차익을 거둘 수 있어 이번 매각이 승인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앤컴퍼니는 현재까지 인수자금 조달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대표는 “이번 인수를 위한 펀드 조성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한앤컴퍼니는 기존 1조원 규모 1호 펀드 자금과 더불어 싱가포르투자청(GIC), 국내 연기금 등이 투자자로 참여하는 1조1000억원 규모 2호 펀드 등록을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주요 금융사가 참여하는 2조3000억원 규모 인수금융도 투자 승인이 마무리 단계다.
한 인수금융사 관계자는 “우리투자증권과 신한·외환은행 등 주요 금융사 여신 승인이 났다”고 말했다. 인수금융단 중 나머지 농협은행은 곧 여신위원회를 열어 다음주 인수금융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한라비스테온공조를 인수하는 한앤컴퍼니와 한라비스테온공조에서 핵심 자동차 부품인 공조장치를 납품받는 현대자동차 간 미묘한 갈등은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다. 한 대표는 “기술력, 서비스, 가격 효율성을 통해 현대차에 인정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요 납품처인 현대자동차에 신뢰를 주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이다.
반면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로서는 사모펀드가 협력업체를 인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한라비스테온공조 지분 매각을 추진 중이란 소식을 접한 뒤 비스테온에도 이 같은 입장을 분명히 전달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납품 품질이나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면 현대차는 공조부품의 구매처를 바꾸는 문제를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현대차그룹이 배후에 있다는 소문을 일축하면서 “현대차 이름을 파는 것은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대차 측이 향후 발생할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한앤컴퍼니 측을 압박하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한앤컴퍼니는 5년 정도 투자기간을 두고 기업가치 확충에 나설 예정이다. 한 대표는 “일본 덴소를 넘어선 세계 1위 기업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국내 PEF 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될 이번 딜을 통해 PEF에 대한 세간의 부정적인 인식을 없애는 계기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한앤컴퍼니의 향후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한 자동차부품업계 관계자는 “중국 경제 성장세를 감안하면 한라비스테온공조 재매각 시점인 5년 뒤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며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동은 기자 / 한우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상원 한앤컴퍼니 대표(사진)는 11일 기자와 만나 “중국 기업에는 절대 안 판다”며 “제2의 쌍용차 매각 같은 기술유출 사태 발생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PEF의 한라비스테온공조 인수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아진 상황에서도 줄곧 침묵을 지켜오다 막판 진화작업에 나서는 모습이다.
한라비스테온공조 대주주인 미국 비스테온그룹은 12일(현지시간) 이사회를 열어 한라비스테온공조 매각 여부를 결정한다. 비스테온은 1997년 한라그룹에서 한라비스테온공조를 사들인 후 추가 지분 매입 비용을 합쳐 총 220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매각가로 알려진 3조9000억원으로 계산하면 20배 가까운 투자 차익을 거둘 수 있어 이번 매각이 승인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앤컴퍼니는 현재까지 인수자금 조달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대표는 “이번 인수를 위한 펀드 조성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한앤컴퍼니는 기존 1조원 규모 1호 펀드 자금과 더불어 싱가포르투자청(GIC), 국내 연기금 등이 투자자로 참여하는 1조1000억원 규모 2호 펀드 등록을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주요 금융사가 참여하는 2조3000억원 규모 인수금융도 투자 승인이 마무리 단계다.
한 인수금융사 관계자는 “우리투자증권과 신한·외환은행 등 주요 금융사 여신 승인이 났다”고 말했다. 인수금융단 중 나머지 농협은행은 곧 여신위원회를 열어 다음주 인수금융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한라비스테온공조를 인수하는 한앤컴퍼니와 한라비스테온공조에서 핵심 자동차 부품인 공조장치를 납품받는 현대자동차 간 미묘한 갈등은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다. 한 대표는 “기술력, 서비스, 가격 효율성을 통해 현대차에 인정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요 납품처인 현대자동차에 신뢰를 주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이다.
반면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로서는 사모펀드가 협력업체를 인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한라비스테온공조 지분 매각을 추진 중이란 소식을 접한 뒤 비스테온에도 이 같은 입장을 분명히 전달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납품 품질이나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면 현대차는 공조부품의 구매처를 바꾸는 문제를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현대차그룹이 배후에 있다는 소문을 일축하면서 “현대차 이름을 파는 것은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대차 측이 향후 발생할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한앤컴퍼니 측을 압박하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한앤컴퍼니는 5년 정도 투자기간을 두고 기업가치 확충에 나설 예정이다. 한 대표는 “일본 덴소를 넘어선 세계 1위 기업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국내 PEF 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될 이번 딜을 통해 PEF에 대한 세간의 부정적인 인식을 없애는 계기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한앤컴퍼니의 향후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한 자동차부품업계 관계자는 “중국 경제 성장세를 감안하면 한라비스테온공조 재매각 시점인 5년 뒤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며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동은 기자 / 한우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