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해 과점주주 분산매각 방식 외에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을 함께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다. 이 방식은 과거 정부가 국민은행이나 KT 민영화를 위해 일부 지분을 매각할 때 썼던 방식이다. 교보생명과 같은 전략적 투자자 외에 연기금, 사모펀드 등 재무적 투자자를 끌어들이겠다는 안이라는 점에서 성공 여부가 주목된다.
9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오는 26일로 예정된 공청회에서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한 용역결과를 공개할 방침이다. 다만 이번 공청회는 2월 국회에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이 불발됨에 따라 다소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우리은행 매각 방안에는 그동안 거론되지 않았던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희망수량 경쟁입찰이란 투자자들에게 희망가격 및 희망수량을 제출하도록 하고 고가 입찰가 기준으로 희망수량을 순차 매각하는 방식이다. 프리미엄이 높은 순서대로 매각하기 때문에 매각대금 극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보다 낮은 4~5% 안팎 지분을 쪼개서 팔 수 있다.
정부는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우리금융지주 지분 56.97%를 보유 중이다. 이 물량을 모두 시장에 내놓으면 인수자 부담이 크기 때문에 30% 안팎을 매각하는 안을 고려하고 있다. 정부가 고려하고 있는 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알려졌다.
10% 내외의 지분을 가져가는 과점주주에게 매각하는 방식을 시도한 뒤 적정한 매각이 이뤄지지 않으면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을 2단계로 쓰는 방법이다. 또는 이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쓰는 안도 고려하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매각자 입장에서 우리은행 인수에 의지가 있는지를 모두 검토하는 방법이라는 장점이 있다.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 명분이 생기기 때문이다. 다만 과점주주 입찰에서도 인기가 없는 매물을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한다고 해서 성공한다는 보장이 없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정부는 이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번째 방법은 시장에 잠재적 인수 후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매수자들이 경영권을 가질 수는 없지만 다른 인수 후보와 복잡하게 컨소시엄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 방식은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함에 따라 입찰 기준에 대해서 정교한 준비가 없으면 혼란이 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과거 정부는 국민은행, KT 지분을 이 방식으로 매각한 바 있다. 국민은행은 2003년 당시 재정경제부가 정부 지분 9.1%를 '지명경쟁 입찰방식'을 통해 매각했다. KT는 2001년 당시 정보통신부가 보유주식 14.7%에 대해 이 방식으로 매각을 시도했다. 다만 높은 예정가격으로 1.1%만 매각하는 데 성공했다.
우리은행 인수에는 교보생명이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있으며 재무적 투자자와 컨소시엄을 만드는 안을 고려하고 있다. KB금융, 미래에셋, 한국금융지주 등이 인수후보로 거론되나 적극적인 의지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을 채택하면 국내 연기금, 사모펀드들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전략적 투자자와 물밑 연대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용범 기자]
9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오는 26일로 예정된 공청회에서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한 용역결과를 공개할 방침이다. 다만 이번 공청회는 2월 국회에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이 불발됨에 따라 다소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우리은행 매각 방안에는 그동안 거론되지 않았던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희망수량 경쟁입찰이란 투자자들에게 희망가격 및 희망수량을 제출하도록 하고 고가 입찰가 기준으로 희망수량을 순차 매각하는 방식이다. 프리미엄이 높은 순서대로 매각하기 때문에 매각대금 극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보다 낮은 4~5% 안팎 지분을 쪼개서 팔 수 있다.
정부는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우리금융지주 지분 56.97%를 보유 중이다. 이 물량을 모두 시장에 내놓으면 인수자 부담이 크기 때문에 30% 안팎을 매각하는 안을 고려하고 있다. 정부가 고려하고 있는 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알려졌다.
10% 내외의 지분을 가져가는 과점주주에게 매각하는 방식을 시도한 뒤 적정한 매각이 이뤄지지 않으면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을 2단계로 쓰는 방법이다. 또는 이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쓰는 안도 고려하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매각자 입장에서 우리은행 인수에 의지가 있는지를 모두 검토하는 방법이라는 장점이 있다.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 명분이 생기기 때문이다. 다만 과점주주 입찰에서도 인기가 없는 매물을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한다고 해서 성공한다는 보장이 없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정부는 이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번째 방법은 시장에 잠재적 인수 후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매수자들이 경영권을 가질 수는 없지만 다른 인수 후보와 복잡하게 컨소시엄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 방식은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함에 따라 입찰 기준에 대해서 정교한 준비가 없으면 혼란이 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과거 정부는 국민은행, KT 지분을 이 방식으로 매각한 바 있다. 국민은행은 2003년 당시 재정경제부가 정부 지분 9.1%를 '지명경쟁 입찰방식'을 통해 매각했다. KT는 2001년 당시 정보통신부가 보유주식 14.7%에 대해 이 방식으로 매각을 시도했다. 다만 높은 예정가격으로 1.1%만 매각하는 데 성공했다.
우리은행 인수에는 교보생명이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있으며 재무적 투자자와 컨소시엄을 만드는 안을 고려하고 있다. KB금융, 미래에셋, 한국금융지주 등이 인수후보로 거론되나 적극적인 의지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을 채택하면 국내 연기금, 사모펀드들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전략적 투자자와 물밑 연대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용범 기자]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