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AO 관행상 '제주항공 2216편 사고'
전문가 "지역감정 자극 명칭 안 돼" vs "공항에만 사고 책임 부적절"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명칭을 둘러싸고 누리꾼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습니다.전문가 "지역감정 자극 명칭 안 돼" vs "공항에만 사고 책임 부적절"
정부 차원에서 이번 참사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라고 일컫기로 일찍이 못 박았으나 일부 유튜버나 누리꾼은 '무안공항 참사'로 불러야 한다고 여전히 주장하고 있습니다.
오늘(3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 등은 참사 초기부터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를 애도하고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는 문구가 적힌 배너를 누리집에 게시했습니다.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한 광주시와 전남도 등을 포함한 나머지 지자체도 마찬가지입니다.
명칭이 이렇게 정해진 건 국제연합(UN)이 설립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관행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이 기구는 통상 항공사와 항공편을 넣어 여객기 사고를 분류해왔기 때문에 이번 사고 또한 원칙적으로는 '제주항공 2216편 사고'로 불러야 합니다.
또 다른 예로 2002년 김해공항 인근 돗대산에서 여객기가 추락해 탑승자 129명이 숨진 사고 또한 '중국국제항공(Air China) 129편 추락사고'라고 명명했습니다.
이 사고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전에 국내 민간항공 역사상 가장 큰 인명 피해를 냈으나 '김해공항 사고'라는 식으로 부르진 않습니다.
그러나 몇몇 유튜버와 누리꾼은 이번 참사의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안공항 참사'라는 명칭을 고집하는 모습입니다.
일부는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용어까지 써가면서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 지역 주민에게 상처를 주는 표현도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전문가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공항에만 사고 책임을 돌리는 명칭을 사용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지적합니다.
보잉 737 기장 출신인 고승희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이번 사고 명칭의 정답을 말하라면 '제주항공 2216편 사고'가 맞다"라면서 "여기에 굳이 공항 이름을 넣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조사 중인 사안이라 조심스럽지만, 이번 사고 영상을 보면 아쉬운 점이 많다"며 "사고 원인이 복합적일 것으로 보이는데 딱 하나만 꼬집어서 잘못됐다고 하긴 어렵기 때문에 밝혀지기 전까지 명칭을 두고 다툴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김건한 민간조종사협회 법률위원장은 "기체가 활주로에 동체착륙 해서 '오버런'(착륙 시 활주로 종단을 넘어서 기체가 나가는 것) 했을 때까지는 '제주항공 2216편 사고'가 맞는데, 로컬라이저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한 것은 '무안공항 사고'로 부르는 게 어색하지 않다"며 "결과적으로 구조물 충돌 이후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하는 상황이 충분히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다른 견해를 밝혔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