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평양돋보기 시간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사망 소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북한이 이들 사망자를 처리하기 위해 법까지 바꾸는 지경에 이렀다는 얘기가 들리고 있는데요.
외교안보팀 강재묵 기자 나와 있습니다.
【 질문1 】
강 기자, 먼저 북한군 피해 상황부터 간략히 정리해주시죠.
【 답변 】
앞서 우리 국정원이 북한군 최소 100여명이 숨지고 부상자는 1천여 명에 달한다고 밝힌 바 있죠.
미 국방부 역시도 현지 시간으로 어제(19일), 북한군 사상자가 수백 명에 달한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 인터뷰 : 패트릭 라이더 / 미국 국방부 대변인
- "수백 명의 북한군이 전사한 것부터 부상당하기까지 다양한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 우리의 평가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질문2 】
북한 내부 민심에 동요가 있을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파병 군인들 가족이 있을텐데요.
【 답변 】
내부 주민과 군인들에게 분명히 동요가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군인들의 경우 본인이 추가 파병되지는 않을까 우려 중인 것으로 전해지는데요.
이 때문인지 군 간부를 중심으로 특히 사상 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역설적으로 최고 지도부가 군 내부의 충성심 저하를 얼마나 우려하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질문3 】
이들 전사자마저 내부 선전에 활용될 것이란 얘기가 있던데, 이건 무슨 내용인가요.
【 답변 】
최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입니다.
북한은 통상 다른 국가들과 달리 사망자 한 명 한 명에 대한 유해를 따로 처리하지 않곤 해왔는데요.
일종의 공동묘지가 러시아 현지에 조성되고, 대다수가 그곳에 안치될 전망입니다.
이 때문에 시신조차 보지 못하는 가족들을 달래기 위해, 이들을 영웅화하는 과정이 병행될 것이란 설명입니다.
▶ 인터뷰(☎) : 박원곤 /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사망자가) 계속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체제 내부에 상당 수준 도전적 요소가 될 수 있거든요. 이들의 희생이 결코 헛된 것이 아니라 영웅적 죽음이다라고 포장을…."
이중 일부의 유해는 북한으로 송환돼 '국가장'으로 장례가 치러지며, 사망 이후까지도 조선노동당의 '혁명의 상징'으로 활용될 것이란 분석입니다.
【 질문4 】
또 사망 군인들을 처리하기 위해 장례법까지 수정했다고요.
【 답변 】
북한은 최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를 통해 지난해 3월 채택한 장의법을 수정·보충했습니다.
수정된 내용 전문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시기적으로 봤을 때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맞물려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해석입니다.
▶ 인터뷰(☎) : 조한범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지금 상황은) 일반적인 장례 절차와는 다르거든요. 그런 상황에 따른 장례 절차, 보상 절차 이런 것들이 법 제정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죠."
즉 북한군의 '복무 중 사망'은 일반 사망과 구분되는 만큼, 현지에서 치러지는 장례 절차나 유족에게 전해질 사망통지서 등 관련해 사전 조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 앵커 】
파병은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파병에 따른 조치들은 곳곳에서 드러나는 듯한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강재묵 기자였습니다.
평양돋보기 시간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사망 소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북한이 이들 사망자를 처리하기 위해 법까지 바꾸는 지경에 이렀다는 얘기가 들리고 있는데요.
외교안보팀 강재묵 기자 나와 있습니다.
【 질문1 】
강 기자, 먼저 북한군 피해 상황부터 간략히 정리해주시죠.
【 답변 】
앞서 우리 국정원이 북한군 최소 100여명이 숨지고 부상자는 1천여 명에 달한다고 밝힌 바 있죠.
미 국방부 역시도 현지 시간으로 어제(19일), 북한군 사상자가 수백 명에 달한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 인터뷰 : 패트릭 라이더 / 미국 국방부 대변인
- "수백 명의 북한군이 전사한 것부터 부상당하기까지 다양한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 우리의 평가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질문2 】
북한 내부 민심에 동요가 있을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파병 군인들 가족이 있을텐데요.
【 답변 】
내부 주민과 군인들에게 분명히 동요가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군인들의 경우 본인이 추가 파병되지는 않을까 우려 중인 것으로 전해지는데요.
이 때문인지 군 간부를 중심으로 특히 사상 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역설적으로 최고 지도부가 군 내부의 충성심 저하를 얼마나 우려하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질문3 】
이들 전사자마저 내부 선전에 활용될 것이란 얘기가 있던데, 이건 무슨 내용인가요.
【 답변 】
최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입니다.
북한은 통상 다른 국가들과 달리 사망자 한 명 한 명에 대한 유해를 따로 처리하지 않곤 해왔는데요.
일종의 공동묘지가 러시아 현지에 조성되고, 대다수가 그곳에 안치될 전망입니다.
이 때문에 시신조차 보지 못하는 가족들을 달래기 위해, 이들을 영웅화하는 과정이 병행될 것이란 설명입니다.
▶ 인터뷰(☎) : 박원곤 /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사망자가) 계속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체제 내부에 상당 수준 도전적 요소가 될 수 있거든요. 이들의 희생이 결코 헛된 것이 아니라 영웅적 죽음이다라고 포장을…."
이중 일부의 유해는 북한으로 송환돼 '국가장'으로 장례가 치러지며, 사망 이후까지도 조선노동당의 '혁명의 상징'으로 활용될 것이란 분석입니다.
【 질문4 】
또 사망 군인들을 처리하기 위해 장례법까지 수정했다고요.
【 답변 】
북한은 최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를 통해 지난해 3월 채택한 장의법을 수정·보충했습니다.
수정된 내용 전문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시기적으로 봤을 때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맞물려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해석입니다.
▶ 인터뷰(☎) : 조한범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지금 상황은) 일반적인 장례 절차와는 다르거든요. 그런 상황에 따른 장례 절차, 보상 절차 이런 것들이 법 제정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죠."
즉 북한군의 '복무 중 사망'은 일반 사망과 구분되는 만큼, 현지에서 치러지는 장례 절차나 유족에게 전해질 사망통지서 등 관련해 사전 조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 앵커 】
파병은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파병에 따른 조치들은 곳곳에서 드러나는 듯한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강재묵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