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극단적 선택' 표현 사용 부적절"…자살을 선택 가능한 대안으로 인식시켜
입력 2024-12-13 10:36  | 수정 2024-12-13 10:41
생명의전화(양화대교). / 사진=연합뉴스
방심위 세미나…전문가들 "자살률 낮추는 데 오히려 도움 안 돼"
"자살 사건 심각성 흐리는 문제 있어"
언론에서 자살 사건을 보도할 때 '극단적 선택'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자살률을 낮추는 데 오히려 도움이 안 된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오늘(13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주최로 양천구 목동 방송회관에서 열린 '소중한 생명보호, 방송현실을 되돌아본다' 세미나에서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이어 "극단적 선택이라는 용어 사용은 부적절하다. 죽음은 결코 선택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디어 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SNS와 유튜브 생중계 등에 의해 무분별한 자살 보도가 있었다"며 "특히 자살 보도는 '디지털 네이티브'인 청소년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준다"고 우려했습니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 3,770명으로 2020년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


이에 자살보도 권고 기준 3.0이 만들어졌으나 좀처럼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면서 최근에는 4.0으로 개선됐습니다.

유 교수는 자살보도 권고 기준 4.0의 제1원칙은 "가급적 보도하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구체적 자살 방법이나 동기를 보도하지 않기, 고인 인격과 유족 사생활 존중하기, 자살 예방 정보 제공하기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어 조하나 백석문화대 간호학과 교수는 "보도의 경우에도 유명인 자살 보도 후 일반인 자살이 급증하는 사례가 있었고, 드라마와 예능은 자살을 문제 해결방식으로 묘사해 정신질환자 등의 심리적 고립을 심화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극단적 선택이라는 완곡한 표현은 자살을 선택 가능한 대안으로 인식시키거나 모호한 표현으로 인해 자살 사건의 심각성을 흐리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 교수는 미디어가 회복과 치유의 메시지를 강조하면 자살 위험군도 새로운 대안을 찾게 되는 '파파게노 효과'를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방심위는 올해 방송 보도에서 '극단적 선택' 대신 '사망'이라는 통일된 용어를 사용하도록 언론에 권고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