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러시아 파병 소식에 국제사회의 안보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유엔에서 남북한 외교관 사이에 날 선 설전이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지 시각 24일 주유엔 북한대표부는 재래식 무기를 주제로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1위원회(군축·국제안보 담당) 회의에서 북러 간 무기거래를 비판하는 한국과 서방국 대표 발언에 대해 "근거 없는 소문에 불과하다"며 무기 제공을 부인하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북한을 대표해 나온 림무성 북한 외무성 국장은 이날 회의에서 답변권을 얻어 북러 무기 거래를 비판하는 한국과 영국, 우크라이나의 발언에 대해 "해당 회원국들의 주장은 북한의 이미지를 손상시키고 유엔헌장에 따른 주권 국가 간의 합법적이고 우호적인 협력 관계를 훼손하는 근거 없는 소문에 불과하다"라고 발뺌했습니다.
이어 "이는 우크라이나가 위기를 연장해 서방으로부터 더 많은 무기와 재정 지원을 받음으로써 정치권력을 유지하려는 또 다른 비방 캠페인"이라고 적반하장식 주장을 폈습니다.
이에 앞서 유엔 주재 한국 대표부의 권성혁 서기관은 "오늘 회의 주제와 딱 맞아떨어지는 북러 간 모든 불법적인 군사협력은 명백히 규탄돼야 한다"며 "북한과 러시아는 국제 의무 위반을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대표부 관계자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에 사용하기 위해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위배해 북한으로부터 무기와 탄약, 기타 군사 장비를 조달했다"며 "러시아가 (대북 제재 위반을 감시하는) 전문가 패널을 해체한 것은 북러 간 군사 및 기술 협력을 숨기려는 시도였다"라고 비판했습니다.
북한의 1차 답변권 행사에 한국도 답변권을 얻어 재반박에 나섰습니다.
한국 대표부의 김성훈 참사관은 북러 무기 거래 및 파병에 대해 "분명한 것을 숨길 수 없다. 충분한 증거가 있다"며 우크라이나에 떨어진 탄도미사일 잔해에서 발견된 한글 표시, 한국어를 하는 러시아 군복의 군인들 영상 등을 증거 사례로 들었습니다.
이어 "북한군 파병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을 사지와 같은 전장에 보낸 정부가 그들의 존재를 부인하는 모습은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이들 군인은 이미 잊히고 버려졌다. 이런 불법행위는 용서받아선 안 되며 규탄받고 책임지게 해야 한다"라고 비판했습니다.
김 참사관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군 파병 보도를 부인하지 않으면서 "북한과 무엇을 어떻게 할지는 우리가 알아서 할 일"이라고 말한 것을 두고도 "보낸 사람은 부인하는데 받은 사람은 부인하지 않는 현 상황이 이상하지 않나"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에 북한 대표부는 2차 답변권 행사에 나서면서 제대로 된 반박 대신 애꿎게 북한 국호 사용에 딴지를 걸었습니다.
북한 대표부 림무성 국장은 한국 대표부 발언에 대해 제대로 된 반박이나 논거 제시 없이 "대부분 근거 없는 역설(paradox)에 불과하다"라고만 흐지부지 반박했습니다.
이어 "우리 대표부는 우리 국호를 '노스 코리아'(북한)라고 부른 대한민국 대표부에 강하게 항의한다"라며 "대한민국 외교관들이 유엔 회원국의 이름도 모르면서 국제 평화와 안보를 얘기하는 것은 창피한 일이다. 알겠나?(Okay?)"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유엔 외교무대에서 자국을 칭할 때 공식 등록 명칭인 'DPRK'(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를 쓰고 있습니다.
한국을 지칭할 때는 기존에는 '사우스 코리아'란 표현을 많이 사용했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작년 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남북 관계를 동족 관계가 아닌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이후 유엔 공식 등록 명칭인 'ROK'(Republic of Korea·대한민국)로 부르고 있습니다.
한편 북한의 러시아 파병으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엔에서는 남북한 간 날 선 설전이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서 23일(이하 현지시각) 화학무기 금지를 주제로 열린 유엔총회 제1위원회 회의에서도 남북 간 공방이 여러 차례 오갔습니다.
한국 대표부 관계자가 화학무기금지조약(CWC) 미가입국 4개국, 특히 북한을 향해 조건 없고 지체 없는 가입을 촉구하자, 북한 대표부 관계자는 답변권을 얻어 독립된 주권 국가가 판단할 조약 가입 문제를 두고 한국이 핵보유국인 북한을 가르칠 입장이 아니라는 궤변을 늘어놨습니다.
이에 다시 한국 대표부 관계자는 "우리는 모두 2017년 2월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사건을 알고 있다"며 "앞서 말했듯 화학무기는 누구에게도 사용돼선 안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VX 신경작용제 공격으로 암살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 사건을 환기하는 발언이었습니다.
그러자 북한 대표부 관계자가 다시 답변권을 얻어 "한국 대표단이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대결적 태도를 계속 취하는 게 참으로 유감스럽고 안타깝다"라고 맞섰습니다.
김정남 암살사건의 배후임을 부정해온 북한이 암살 사주 주체를 언급하지 않은 한국 대표부 관계자의 발언에 답변권을 행사해 유감을 표한 겁니다.
이에 한국 대표부 관계자는 다시 답변권 발언에 나서면서 "이상한 일"이라면서 "(2017년 2월)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를 국제사회에 환기하고자 했을 뿐이지 누가 했는지를 환기하려 했던 게 아니다. 한국 대표부는 화학무기는 누구에게도, 어디, 어떤 환경에서도 사용돼선 안 된다는 입장을 재강조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
현지 시각 24일 주유엔 북한대표부는 재래식 무기를 주제로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1위원회(군축·국제안보 담당) 회의에서 북러 간 무기거래를 비판하는 한국과 서방국 대표 발언에 대해 "근거 없는 소문에 불과하다"며 무기 제공을 부인하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북한을 대표해 나온 림무성 북한 외무성 국장은 이날 회의에서 답변권을 얻어 북러 무기 거래를 비판하는 한국과 영국, 우크라이나의 발언에 대해 "해당 회원국들의 주장은 북한의 이미지를 손상시키고 유엔헌장에 따른 주권 국가 간의 합법적이고 우호적인 협력 관계를 훼손하는 근거 없는 소문에 불과하다"라고 발뺌했습니다.
이어 "이는 우크라이나가 위기를 연장해 서방으로부터 더 많은 무기와 재정 지원을 받음으로써 정치권력을 유지하려는 또 다른 비방 캠페인"이라고 적반하장식 주장을 폈습니다.
이에 앞서 유엔 주재 한국 대표부의 권성혁 서기관은 "오늘 회의 주제와 딱 맞아떨어지는 북러 간 모든 불법적인 군사협력은 명백히 규탄돼야 한다"며 "북한과 러시아는 국제 의무 위반을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대표부 관계자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에 사용하기 위해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위배해 북한으로부터 무기와 탄약, 기타 군사 장비를 조달했다"며 "러시아가 (대북 제재 위반을 감시하는) 전문가 패널을 해체한 것은 북러 간 군사 및 기술 협력을 숨기려는 시도였다"라고 비판했습니다.
북한 측 발언 반박하는 주유엔 한국대표부 외교관. / 사진=유엔 웹TV 화면 캡처
북한의 1차 답변권 행사에 한국도 답변권을 얻어 재반박에 나섰습니다.
한국 대표부의 김성훈 참사관은 북러 무기 거래 및 파병에 대해 "분명한 것을 숨길 수 없다. 충분한 증거가 있다"며 우크라이나에 떨어진 탄도미사일 잔해에서 발견된 한글 표시, 한국어를 하는 러시아 군복의 군인들 영상 등을 증거 사례로 들었습니다.
이어 "북한군 파병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을 사지와 같은 전장에 보낸 정부가 그들의 존재를 부인하는 모습은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이들 군인은 이미 잊히고 버려졌다. 이런 불법행위는 용서받아선 안 되며 규탄받고 책임지게 해야 한다"라고 비판했습니다.
김 참사관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군 파병 보도를 부인하지 않으면서 "북한과 무엇을 어떻게 할지는 우리가 알아서 할 일"이라고 말한 것을 두고도 "보낸 사람은 부인하는데 받은 사람은 부인하지 않는 현 상황이 이상하지 않나"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에 북한 대표부는 2차 답변권 행사에 나서면서 제대로 된 반박 대신 애꿎게 북한 국호 사용에 딴지를 걸었습니다.
북한 대표부 림무성 국장은 한국 대표부 발언에 대해 제대로 된 반박이나 논거 제시 없이 "대부분 근거 없는 역설(paradox)에 불과하다"라고만 흐지부지 반박했습니다.
이어 "우리 대표부는 우리 국호를 '노스 코리아'(북한)라고 부른 대한민국 대표부에 강하게 항의한다"라며 "대한민국 외교관들이 유엔 회원국의 이름도 모르면서 국제 평화와 안보를 얘기하는 것은 창피한 일이다. 알겠나?(Okay?)"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유엔 외교무대에서 자국을 칭할 때 공식 등록 명칭인 'DPRK'(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를 쓰고 있습니다.
한국을 지칭할 때는 기존에는 '사우스 코리아'란 표현을 많이 사용했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작년 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남북 관계를 동족 관계가 아닌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이후 유엔 공식 등록 명칭인 'ROK'(Republic of Korea·대한민국)로 부르고 있습니다.
한편 북한의 러시아 파병으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엔에서는 남북한 간 날 선 설전이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유엔본부. /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자료
앞서 23일(이하 현지시각) 화학무기 금지를 주제로 열린 유엔총회 제1위원회 회의에서도 남북 간 공방이 여러 차례 오갔습니다.
한국 대표부 관계자가 화학무기금지조약(CWC) 미가입국 4개국, 특히 북한을 향해 조건 없고 지체 없는 가입을 촉구하자, 북한 대표부 관계자는 답변권을 얻어 독립된 주권 국가가 판단할 조약 가입 문제를 두고 한국이 핵보유국인 북한을 가르칠 입장이 아니라는 궤변을 늘어놨습니다.
이에 다시 한국 대표부 관계자는 "우리는 모두 2017년 2월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사건을 알고 있다"며 "앞서 말했듯 화학무기는 누구에게도 사용돼선 안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VX 신경작용제 공격으로 암살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 사건을 환기하는 발언이었습니다.
그러자 북한 대표부 관계자가 다시 답변권을 얻어 "한국 대표단이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대결적 태도를 계속 취하는 게 참으로 유감스럽고 안타깝다"라고 맞섰습니다.
김정남 암살사건의 배후임을 부정해온 북한이 암살 사주 주체를 언급하지 않은 한국 대표부 관계자의 발언에 답변권을 행사해 유감을 표한 겁니다.
이에 한국 대표부 관계자는 다시 답변권 발언에 나서면서 "이상한 일"이라면서 "(2017년 2월)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를 국제사회에 환기하고자 했을 뿐이지 누가 했는지를 환기하려 했던 게 아니다. 한국 대표부는 화학무기는 누구에게도, 어디, 어떤 환경에서도 사용돼선 안 된다는 입장을 재강조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