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문제를 현장 취재한 외교안보팀 강재묵 기자 나와있습니다.
【 질문1 】
강 기자, 우선 조선인 학살 피해 규모를 어느 정도로 추정할 수 있을까요?
【 답변 】
1923년 당시 상해임시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은 희생자가 무려 6천661명에 달한다고 보도했습니다.
다만 일본 현지에서 조사한 내용은 아닌만큼 추정치일 뿐이며, 실제 피해 규모는 이보다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1952년 당시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로 조선인 학살 희생자 수집을 시도한 적이 있었지만, 역시 일본 측의 비협조 등을 이유로 한계가 있었습니다.
국가기록원 자료에는 251명의 사망자 명단만 보관돼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 질문2 】
정확한 수치를 알기 위해선 결국 일본 정부 협조가 필수적일 것 같은데요.
【 답변 】
현재는 민간 차원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에만 의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시를 기억하는 인물의 증언이나 일기 등을 통해 피해 사실을 모으는 방식인데요.
MBN 취재진도 한국인 사망자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문서가 도쿄도 위령당 안에 존재한다는 내용을 듣고, 이를 열람하고자 요청했지만 지자체의 동의가 필요하다며 거절당했습니다.
▶ 인터뷰(☎) : 도쿄도위령협회의 관계자
- "도쿄도에서 실질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이쪽에서 대답을 할 수 없습니다만, 한장 한장 카메라로 담아내는 것은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 질문3 】
일본 정부의 조선인 학살에 대한 공식 입장은 무엇인가요?
【 기자 】
일본 정부는 조선인 학살에 대한 정부 책임에 대해 "사실관계를 파악할 기록이 없다"며 부인해왔습니다.
앞서 제가 직접 올해 추도식에도 다녀 왔었는데, 일부 야당 의원들만이 관심을 갖고 있던 상황입니다.
▶ 인터뷰 : 스기오 히데야 / 일본 입헌민주당 참의원
- "'목구멍에 박힌 가시 같다'는 표현을 제가 쓰고는 하는데요. 가시를 빼고 진정한 민족 화해, 그리고 일한·한일 관계 발전으로 나가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 질문4 】
그렇다면, 이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은 어떤가요?
일본에 사과를 요구하고 진상 규명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닌가요?
【 답변 】
일본 정부의 태도를 '모르쇠'로 비판할 수 있다면, 우리 정부도 '소극적'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현실입니다.
지난 21대 국회 당시 진상 규명과 피해자 보상 등 내용을 담은 '간토대학살 특별법'이 발의됐지만 무관심 속에 국회를 계류하던 중 자동 폐기됐습니다.
이번 22대 국회에서도 같은 내용의 법안이 다시금 발의됐지만, 본회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 인터뷰 : 윤건영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많은 어려움들이 있습니다. 아직도 간토대학살에 대해 의도적으로 외면하는 시선들이 있습니다. 국회 내에서 최선의 노력을…."
【 앵커 】
내년도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이 문제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할 것으로 보이네요. 강재묵 기자였습니다.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문제를 현장 취재한 외교안보팀 강재묵 기자 나와있습니다.
【 질문1 】
강 기자, 우선 조선인 학살 피해 규모를 어느 정도로 추정할 수 있을까요?
【 답변 】
1923년 당시 상해임시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은 희생자가 무려 6천661명에 달한다고 보도했습니다.
다만 일본 현지에서 조사한 내용은 아닌만큼 추정치일 뿐이며, 실제 피해 규모는 이보다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1952년 당시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로 조선인 학살 희생자 수집을 시도한 적이 있었지만, 역시 일본 측의 비협조 등을 이유로 한계가 있었습니다.
국가기록원 자료에는 251명의 사망자 명단만 보관돼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 질문2 】
정확한 수치를 알기 위해선 결국 일본 정부 협조가 필수적일 것 같은데요.
【 답변 】
현재는 민간 차원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에만 의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시를 기억하는 인물의 증언이나 일기 등을 통해 피해 사실을 모으는 방식인데요.
MBN 취재진도 한국인 사망자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문서가 도쿄도 위령당 안에 존재한다는 내용을 듣고, 이를 열람하고자 요청했지만 지자체의 동의가 필요하다며 거절당했습니다.
▶ 인터뷰(☎) : 도쿄도위령협회의 관계자
- "도쿄도에서 실질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이쪽에서 대답을 할 수 없습니다만, 한장 한장 카메라로 담아내는 것은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 질문3 】
일본 정부의 조선인 학살에 대한 공식 입장은 무엇인가요?
【 기자 】
일본 정부는 조선인 학살에 대한 정부 책임에 대해 "사실관계를 파악할 기록이 없다"며 부인해왔습니다.
앞서 제가 직접 올해 추도식에도 다녀 왔었는데, 일부 야당 의원들만이 관심을 갖고 있던 상황입니다.
▶ 인터뷰 : 스기오 히데야 / 일본 입헌민주당 참의원
- "'목구멍에 박힌 가시 같다'는 표현을 제가 쓰고는 하는데요. 가시를 빼고 진정한 민족 화해, 그리고 일한·한일 관계 발전으로 나가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 질문4 】
그렇다면, 이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은 어떤가요?
일본에 사과를 요구하고 진상 규명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닌가요?
【 답변 】
일본 정부의 태도를 '모르쇠'로 비판할 수 있다면, 우리 정부도 '소극적'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현실입니다.
지난 21대 국회 당시 진상 규명과 피해자 보상 등 내용을 담은 '간토대학살 특별법'이 발의됐지만 무관심 속에 국회를 계류하던 중 자동 폐기됐습니다.
이번 22대 국회에서도 같은 내용의 법안이 다시금 발의됐지만, 본회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 인터뷰 : 윤건영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많은 어려움들이 있습니다. 아직도 간토대학살에 대해 의도적으로 외면하는 시선들이 있습니다. 국회 내에서 최선의 노력을…."
【 앵커 】
내년도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이 문제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할 것으로 보이네요. 강재묵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