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0년 미래 교육 계획 방향 발표…'인공지능' 시대 '맞춤형 학습' 제공
수능 이원화·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 검토…내년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수능 이원화·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 검토…내년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인공지능(AI)·디지털 시대 학생 개별 맞춤형 교육'과 '성장·역량 중심의 평가와 대입 패러다임 전환'이 향후 10년 동안 우리나라 미래교육 설계도의 주요 키워드가 될 전망입니다.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는 오늘(25일) 서울 중구에서 개최하는 출범 2주년 기념 대토론회에 앞서 배포한 자료집에서 이 같은 내용의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주요 방향'을 공개했습니다.
국교위가 내년 3월 발표할 예정인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은 2026년부터 2035년까지 10년 동안의 대한민국 미래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일종의 '설계도'입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수능 이원화,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 내신 외부평가제 도입, 내신 절대평가제 전면 도입 등이 검토됩니다.
◇ 학생 '성장'에 초점 맞춘다…수능 서술형 평가, 내신 절대평가제 검토
국교위는 계획안에서 미래인재를 육성하는 평가와 대입 체제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학생 성장과 역량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대입 패러다임 또한 이에 맞춰 전환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국교위는 지금까지의 교육개혁은 다양성을 갖춘 개인 간 협력과 조화의 미비, 경쟁체제 심화, 교육의 양적 팽창과 질적 저하 등의 한계를 노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대입 경쟁 과열로 사교육시장이 커지고 사교육비 지출이 지나치게 많아졌으며, 과도한 학력주의와 학벌주의가 나타났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래 학교교육을 통해 공동체 역량과 창의적 사고 역량, 자기관리 역량, 의사소통 역량, 문제해결 역량 등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계획안은 전체적인 방향성만 제시했을 뿐 가장 관심을 끄는 2029학년도와 그 이후의 대입 개편안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습니다.
추후 국교위에서는 학생 성장과 역량을 어떻게 평가하고 이를 대입에 어떤 식으로 적용할지에 중점을 둬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계획안에서 학생의 '성장'과 '역량'을 평가하겠다고 한 만큼 한 번의 수능으로 모든 것을 평가하거나 객관식 문항에서 답만 고르는 식의 현행 평가와 대입 제도가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수능 이원화,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 내신 외부평가제 도입' 등이 국교위 산하 중장기 국가교육발전 전문위원회(전문위)에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능 이원화는 현재 언어, 수학, 영어, 탐구 영역 등을 평가하는 수능을 둘로 쪼개 언어와 수학만 치르는 수능Ⅰ과 선택과목을 평가하는 수능Ⅱ로 나누는 방안입니다.
고등학교 내신의 경우 내년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를 고려해 '절대평가'를 전면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CG). / 사진=연합뉴스TV 제공
◇ AI 교과서 도입 맞춰 '맞춤형 교육' 확대…유보통합도 박차
공교육은 AI·디지털 시대 학생 개별 맞춤형 성장을 위한 시스템으로 대전환합니다.
이를 통해 기초학력 보장부터 미래인재 양성까지 국가책임제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역시 구체적인 내용은 서술되지 않았지만, 현재 교육당국이 추진하는 AI 디지털교과서 등의 정책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부는 내년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등 일부 학년 영어·수학·정보 등의 교과에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고 적용 교과를 늘려가기로 했습니다.
교육부는 AI 디지털교과서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고려한 '맞춤형 학습'을 도와 학력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외에도 학령인구 감소 시대에 맞춰 양질의 영유아교육을 보장하고자 유보통합(유치원·어린이집 통합) 현장 안착과 교육의 질 제고에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학생의 질 높은 돌봄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늘봄학교를 안착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한편 인성교육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대학의 다양화·특성화를 위해 고등교육체제를 전면적으로 재정비하고 대학의 연구·교육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