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3년 이상 집에서 쉬는 청년 8만 2천 명
입력 2024-09-19 07:42  | 수정 2024-09-19 07:43
고달픈 취업 준비. / 사진=연합뉴스 자료
3년 이상 미취업자 3명 중 1명이 별다른 구직 활동 안 해
양질의 일자리 없어…취업 지원에만 초점 맞춘 정책 지적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취업 준비를 하지 않거나 별다른 직업 교육을 받지 않고 있는 청년이 8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19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 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3만 8천 명이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근 3년(2022∼2024년) 중 가장 큰 수치입니다.

이들 중 주된 활동으로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한 청년은 8만 2천 명(34.2%)이었는데,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3명 중 1명 이상이 직업 훈련이나 취업 시험 준비, 구직활동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시간을 보냈다는 의미입니다.

이어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28.9%(6만 9천 명), '육아·가사를 했다' 14.8%(3만 5천 명), '진학 준비를 했다' 4.6%(1만 1천 명) 등의 순이었습니다.

'쉬는 청년' 9개월만에 다시 증가. / 사진=연합뉴스 자료

미취업 기간별로 봤을 때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의 비중은 3년 이상일 때가 가장 높았습니다.

그냥 쉬었다는 응답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0.5%에서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6.4%로 상승했습니다.

1년 이상∼2년 미만에서는 20.6%로 비중이 줄었다가 2년 이상∼3년 미만은 30.3%, 3년 이상일 때 34.2%로 상승했습니다.

학교를 졸업한 후 3년이 지나도록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실제로 취업 준비를 했다는 대답은 6개월∼1년 미만일 때 54.9%에서 1년∼2년 미만일 때 50.8%, 2년∼3년 미만일 때 45.1%, 3년 이상일 때 34.2%로 점차 하락했습니다.

여기서 취업을 위한 활동은 구직활동과 직업 훈련, 취업 시험 준비를 위해 도서관·학원을 다니는 비율 등을 합친 것입니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은 2021년 9만 6천 명에서 2022년 8만 4천 명, 2023년 8만 명으로 점차 감소하다 올해 8만 2천 명으로 늘며 증가 전환했습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5만 4천 명), 2019년(6만 4천 명)과 비교하면 절대값으로도 여전히 많은 숫자입니다. 청년층 인구의 감소 추세를 고려하면 증가세가 시사하는 바는 더욱 큽니다.

취업을 원하고 할 수 있지만, 임금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청년 구직 단념자'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 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만 8천 525명)보다 약 1만 1천 여명 늘었습니다. 전체 구직단념자(38만 7천 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였습니다.

정부는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쉬었음'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을 위한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사회 활동이 현저히 줄어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받기 힘들거나, 제한된 공간에 스스로를 가둔 '고립 은둔 청년'을 지원하기 위한 범정부 대책도 내놨습니다.

하지만 노동 시장의 이중 구조가 심화하고,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히 늘지 않는 상황에서 취업 지원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사진=통계청 제공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