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민영언론 통해 푸틴 방북 불편한 속내 내비친 중국
입력 2024-06-18 19:02  | 수정 2024-06-18 19:08
【 앵커멘트 】
러시아, 그리고 북한과 가장 가까운 동맹인 중국은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에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미일 동맹처럼 중국도 동맹국들끼리 만나서 협력하는 걸 반가워하는 게 상식적인데요.
베이징 연결해보겠습니다.
윤석정 특파원, 중국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 기자 】
네, 중국 정부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 당일인 오늘(18일)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중국 외교부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이 나왔지만, "러시아와 북한 간의 양자 왕래"라고만 답했습니다.

주목되는 건 중국 경제전문 매체인 차이신의 논조인데요.

이 매체는 오늘(18일) "북러 양국의 군사관계가 과열되고 있다"며 "걱정스럽다"든지 "경계하고 있다"는 식으로 보도했습니다.


중국 관영매체의 보도는 대개 중국 정부의 입장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비관영 매체를 통해 북러 양국의 군사적 밀착에 대한 불편한 속내를 내비친 것 아니냐는 해석입니다.


【 질문 2 】
그런데 서울에서는 중국이 우리와 외교안보대화를 합니다. 푸틴 방북 문제 다뤄질까요?

【 답변 2 】
네, 현재 한중 양국의 외교와 국방 담당 고위급 인사가 만나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양국 관계와 한반도 문제, 지역 정세, 국제 정세 같은 현안들에 대해서 의견 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마침 푸틴 대통령의 방북 일정과 겹치는 만큼 이와 관련한 주제나 북러 군사협력에 관해서도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북한의 혈맹인 중국을 통한 북한의 오판을 막아야 한다는 필요성.

그리고 중국으로서는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가 불안정해질 경우 득보다는 실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이번 한중 외교·안보 대화의 시점이 절묘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 드렸습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