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러 화물선, 4월 북한 나진항 기항…불법 교역 지속"
입력 2024-06-09 10:53  | 수정 2024-06-09 10:59
북러 협력./ 사진=연합뉴스
후루카와 가쓰히사 "국제사회 대응 서둘러야"


미국과 일본의 제재 대상인 러시아 화물선 1척이 지난 4월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항을 떠나 북한 동북부 나진항에 기항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오늘(9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를 위반하면서 북한이 만든 무기와 탄약을 운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요미우리는 후루카와 가쓰히사 전 위원과 함께 미국 민간 위성 서비스 '플래닛 랩스' 위성사진, 국제해사기구(IMO) 선박 정보 등을 분석했습니다. 후루카와 전 위원은 북한에 대한 유엔 제재 결의 이행을 감시하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을 지낸 인물입니다.

4월 2일과 3일 보스토치니항을 촬영한 위성사진에는 러시아 선적 화물선 'LADY R'호로 보이는 선박이 컨테이너가 쌓인 항구에 접안해 있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4월 14일에는 같은 배로 추정되는 선박이 북한 나진항에 기항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선박 운항정보 웹사이트 '마린 트래픽'에는 이 화물선이 보스토치니항에서 나진항으로 이동했을 당시의 선박자동식별장치(AIS) 정보가 없어 정확한 항적은 알 수 없다고 요미우리는 전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재작년 5월 무기 수송에 사용되고 있다는 이유로 'LADY-R'호를 독자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일본 정부도 지난달 "탄약을 운반하고 있다"며 이 선박을 소유한 러시아 기업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2009년 6월 북한 핵실험에 대응해 북한의 무기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제재를 채택한 바 있습니다.

앞서 요미우리는 같은 방법으로 위성사진을 분석해 북한 유조선이 지난 4월 러시아에서 석유를 공급받아 자국으로 수송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그저께(7일) 보도했습니다.

요미우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하면서 북한과 러시아가 필요한 물자를 서로 제공하는 상호 의존이 심화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후루카와 전 위원은 "보스토치니항은 북한 무기와 석유 정제 제품의 부정 수송 거점이 되고 있다"며 "러시아에 제공되는 탄약 등은 우크라이나 공격에 사용되고 있는 만큼 국제사회는 대응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나진항과 보스토치니항을 중심으로 무기와 석유 등을 거래하는 불법 교역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NK뉴스는 지난 3월 'LADY R'호로 보이는 선박이 나진항에 정박해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전했고,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지난 4월 북한 선박이 보스토치니항에 정박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김가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gghh700@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