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벌써 심상찮은 '폭우'…지하차도 침수 통제 15cm로 낮춘다
입력 2024-05-26 19:31  | 수정 2024-05-26 20:11
【 앵커멘트 】
올여름 비가 많이 올 것이라고 전해 드렸는데, 지난해 오송 참사 같은 침수 사고가 반복될까 걱정입니다.
당시 지하차도를 통제하는 정부 지침이 없어 지자체마다 기준이 천차만별이었고, 오송 지하차도엔 '50cm 침수 시 통제'라는 안일한 규정이 화를 불렀죠.
정부가 뒤늦게 새로운 통일 지침을 내놨습니다. 몇 cm로 했을까요?
이혁근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해 7월, 폭우에 제방이 무너지고 강물이 쏟아져 들어왔는데도 오송 지하차도는 통제되지 않았습니다.

도로가 50cm 이상 물에 잠겨야 길을 막는다는 규정 때문입니다.

안일한 규정은 14명이 숨지고 9명이 다치는 참사로 이어졌습니다.

정부가 통일된 통제기준을 내놓지 않아 화를 불렀다는 질타가 쏟아지자, 국토교통부는 뒤늦게 지난달에서야 전국 지하차도에 적용될 새로운 통제기준을 내놨습니다.


침수 마지노선은 15cm로 설정했습니다.

▶ 스탠딩 : 이혁근 / 기자
- "통제기준이 50cm면 중형차 배기구가 물에 잠겨 시동이 꺼질 수 있지만, 15cm면 보시는 것처럼 비교적 여유가 있습니다."

이런 기준이 나온 건 국내 운행 중인 전기차가 50만 대를 넘어섰기 때문입니다.

전기차는 차체 밑에 배터리가 달려있는데, 도로면과 차체 사이 간격이 내연차에 비해 좁은 편입니다.

▶ 인터뷰 : 김필수 / 한국전기차협회장
- "전기차는 무게도 무겁고 또 바닥에 배터리가 있기 때문에 위험도가 더 높다는 거죠. 누전에 의해서 감전이라든지 각종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이…."

다음 달 재개통을 앞둔 오송 지하차도 역시 도로가 15cm 침수되면 입구에 차단막이 내려오도록 공사가 한창입니다.

같은 참사가 일어나지 않으려면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는 행정 지도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이혁근입니다. [root@mbn.co.kr]

영상취재 : 김영호 기자
영상편집 : 김미현
그래픽 : 송지수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