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임플란트 이제 안녕"…일본 연구진 '치아 자라는 약' 개발
입력 2024-05-04 10:48  | 수정 2024-05-04 17:19
치아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습니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본 연구진, 세계최초 ‘치아 자라는 약’ 개발
선천성 무치증 치료법으로 기대 모아


일본에서 세계 최초로 치아를 자라게 하는 약을 개발했습니다. 올해 9월부터 실용화를 위한 임상시험에 돌입할 예정이며, 선천성 무치증 환자들의 근본적 치료법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일본 기타노병원과 바이오 스타트업 ‘트레젬 바이오파마는 선천적으로 영구치가 적은 ‘선천성 무치증 환자를 위해 치아를 자라나게 하는 약을 개발했으며, 2030년 출시를 목표로 오는 9월 인체 안전성 확인을 위한 임상시험에 돌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치아 성장을 막는 단백질 ‘USAG-1′가 작용하는 원리에 주목해, 이 기능을 억제하는 효과의 약을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간의 치아는 유치에서 영구치로 교체되면서 더 이상 새롭게 자라지 않습니다. 영구치 외에 '제3의 치아'로 불리는 ‘치아 싹이 있지만, 이는 성장과 함께 퇴화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 ‘제3의 치아의 성장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밝혀낸 후, 그 활동을 억제해 '치아 싹'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연구해 왔습니다.

개발된 약은 쥐나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치아를 자라게 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연구진은 올해 9월부터 일반 성인과 무치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시험할 예정이며, 이르면 2030년까지 실용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선천성 무치증 환자는 일반적으로 치아의 수가 일반인들보다 6개 이상 적은 증상을 보입니다. 이로 인해 식사가 어렵거나 턱 발달에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대부분 환자의 경우 틀니나 임플란트 시술을 해야 했습니다.

향후 약이 개발되면 선천성 무치증에 대한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 후천적인 요인으로 인해 치아를 잃은 일반 성인들도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레젬의 타카하시 카츠 이사는 이번 기술이 실용화되면 틀니나 임플란트와 같은 기존 기술과 차별화되는 ‘제3의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해당 약의 가격은 150만 엔(약 1335만 원)으로 알려졌습니다.

[김경태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ragonmoon2021@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