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공화국"
프랑스의 유력 일간지 '르몽드'가 최근 대한민국을 가리켜 부른 말입니다.
다소 과해 보이고, 우리에게 불편함을 주는 표현인데요.
르몽드는 자체 조사를 근거로 들며, 세계 유명 동영상 플랫폼 5군데에 올라온 '딥페이크 영상'(인공지능 기술로 만든 가짜영상)에 등장하는 유명인 50명 중 절반 이상이 한국의 스타 연예인들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두고 그들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치부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해당 이슈에 우리나라가 언급되는 사실 자체가 씁쓸하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하필이면 최근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가짜영상이 논란 거리가 된 바도 있었기 때문이죠.
지난 카타르 아시안컵 4강전에서 무기력한 모습으로 지고 만 축구 대표팀.
믿기 힘든 패배 이후, 더 믿기 힘든 내용의 소문이 돌기 시작했죠.
이강인 선수가 주장인 손흥민 선수에게 대드는 이른바 대표팀 내 '하극상' 논란이 일파만파 퍼졌던 겁니다.
그런데 이 발 없는 소문은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등을 통해 그야말로 걷잡을 수 없이 확산했습니다.
그 와중에 정말로 문제가 된 것은 대부분의 영상들이 확인되지 않거나, 합리적인 근거가 전혀 없는 내용들로 채워진 '가짜뉴스'였다는 사실입니다.
일부 영상은 8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기도 했고, 당시 '축구 대표팀 내부 불화'를 소재로 만들어진 가짜영상들은 190개가 넘는 채널에 360건 이상 올라온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게다가 이 영상들은 총 7천만 회 가까운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약 7억 원 상당의 광고 수익을 낸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처럼 규제 사각지대를 노려 비양심적으로 가짜영상을 제작하고, 유포한 사람들은 대중들을 속여 지갑까지 채우게 됐습니다.
한편, 유럽 연합 EU는 최근 디지털서비스법(DSA)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 규제를 강화하기 위한 압박에 나섰다고 하는데요.
EU 측은 유튜브, X, 틱톡 등 8개 플랫폼에 딥페이크 영상 위험 예방 조처에 관한 정보를 공식 요구했다고 발표했고, 추후 추가적인 조사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합니다.
우리도 이러한 사례를 참고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4월 총선을 앞두고 분위기가 무르익어가는 가운데, 지난달 말에는 윤석열 대통령 '허위 조작 영상'이 온라인을 통해 퍼지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연설 영상을 짜깁기해 조작되어 만들어진 영상이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경찰은 곧장 수사에 착수했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해당 게시글의 삭제와 차단을 요청했습니다.
이어 지난 11일 방심위는 틱톡과 메타 등 플랫폼들에서 해당 가짜영상이 모두 삭제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회의원 선거일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 회사들도 뉴스 서비스 재정비에 돌입했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주요 포털사이트 회사들은 딥페이크 활용 가짜뉴스에 대한 신고 체계 등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도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가짜영상 단속을 본격화하고 있는데요.
현재 이 프로그램의 탐지 성공률은 80%대인데, 앞으로 학계와 기업 등 인공지능 전문가들과 협업하면서 완성도를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 연장현 기자 / tallyeon@mbn.co.kr]
‘취[재]중진담에서는 MBN 사건팀 기자들이 방송으로 전하지 못했거나 전할 수 없었던 이야기들을 들려 드립니다.
#취재중진담 #취[재]중진담 #취중진담
프랑스의 유력 일간지 '르몽드'가 최근 대한민국을 가리켜 부른 말입니다.
다소 과해 보이고, 우리에게 불편함을 주는 표현인데요.
르몽드는 자체 조사를 근거로 들며, 세계 유명 동영상 플랫폼 5군데에 올라온 '딥페이크 영상'(인공지능 기술로 만든 가짜영상)에 등장하는 유명인 50명 중 절반 이상이 한국의 스타 연예인들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두고 그들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치부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해당 이슈에 우리나라가 언급되는 사실 자체가 씁쓸하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하필이면 최근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가짜영상이 논란 거리가 된 바도 있었기 때문이죠.
◆ '이강인 가짜영상'으로 7억 수익 ◆
지난 카타르 아시안컵 4강전에서 무기력한 모습으로 지고 만 축구 대표팀.
믿기 힘든 패배 이후, 더 믿기 힘든 내용의 소문이 돌기 시작했죠.
이강인 선수가 주장인 손흥민 선수에게 대드는 이른바 대표팀 내 '하극상' 논란이 일파만파 퍼졌던 겁니다.
그런데 이 발 없는 소문은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등을 통해 그야말로 걷잡을 수 없이 확산했습니다.
출처: MBN
그 와중에 정말로 문제가 된 것은 대부분의 영상들이 확인되지 않거나, 합리적인 근거가 전혀 없는 내용들로 채워진 '가짜뉴스'였다는 사실입니다.
일부 영상은 8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기도 했고, 당시 '축구 대표팀 내부 불화'를 소재로 만들어진 가짜영상들은 190개가 넘는 채널에 360건 이상 올라온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게다가 이 영상들은 총 7천만 회 가까운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약 7억 원 상당의 광고 수익을 낸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처럼 규제 사각지대를 노려 비양심적으로 가짜영상을 제작하고, 유포한 사람들은 대중들을 속여 지갑까지 채우게 됐습니다.
한편, 유럽 연합 EU는 최근 디지털서비스법(DSA)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 규제를 강화하기 위한 압박에 나섰다고 하는데요.
EU 측은 유튜브, X, 틱톡 등 8개 플랫폼에 딥페이크 영상 위험 예방 조처에 관한 정보를 공식 요구했다고 발표했고, 추후 추가적인 조사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합니다.
우리도 이러한 사례를 참고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 '대통령 가짜영상'까지 ◆
4월 총선을 앞두고 분위기가 무르익어가는 가운데, 지난달 말에는 윤석열 대통령 '허위 조작 영상'이 온라인을 통해 퍼지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출처: MBN
해당 영상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연설 영상을 짜깁기해 조작되어 만들어진 영상이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경찰은 곧장 수사에 착수했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해당 게시글의 삭제와 차단을 요청했습니다.
이어 지난 11일 방심위는 틱톡과 메타 등 플랫폼들에서 해당 가짜영상이 모두 삭제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회의원 선거일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 회사들도 뉴스 서비스 재정비에 돌입했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주요 포털사이트 회사들은 딥페이크 활용 가짜뉴스에 대한 신고 체계 등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도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가짜영상 단속을 본격화하고 있는데요.
출처: 경찰청
현재 이 프로그램의 탐지 성공률은 80%대인데, 앞으로 학계와 기업 등 인공지능 전문가들과 협업하면서 완성도를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 연장현 기자 / tallyeon@mbn.co.kr]
‘취[재]중진담에서는 MBN 사건팀 기자들이 방송으로 전하지 못했거나 전할 수 없었던 이야기들을 들려 드립니다.
#취재중진담 #취[재]중진담 #취중진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