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규직이 비정규직 되면 '극단 선택' 생각 2배 높아져
입력 2024-03-12 07:50  | 수정 2024-03-12 07:53
직장인 (기사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이미지.) / 사진=연합뉴스

근무조건이 정규직이었다가 비정규직으로 전환된 노동자는 정규직을 유지한 노동자보다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2배가량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대병원 소속 윤재홍 박사·서울대 보건대학원 김지환 박사(공동 1저자)와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승섭 교수(교신저자)는 '고용상태의 변화가 자살사고와 우울증세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이라는 논문에 이러한 결과를 공개했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한국복지패널 8차~15차(2013~2020년) 데이터에 나타난 19세 이상 임금노동자 3621명을 분석했습니다.

분석 대상자들은 패널에 등록됐을 시점에 모두 정규직이었으나, 이 중 10.8%는 이듬해에 비정규직으로 근무조건이 변경됐습니다.


이런 고용형태 변화는 여성, 기혼자,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 서비스직군, 중소기업, 노동조합이 없는 직장 근로자, 만성질환자 등에서 더 많이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정규직을 ▲1년이 넘는 계약기간 ▲상근직 ▲직접고용(하청, 파견근로자, 자영업자 제외) ▲무기계약 등 4가지 조건이 모두 갖춰진 근로형태로 정의하고, 이 가운데 한가지라도 충족하지 못하면 비정규직으로 분류했습니다.

분석 대상자들의 자살생각과 우울증은 '지난 1년간 자살로 사망하는 것에 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등의 질문에 본인이 직접 응답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근로조건이 바뀐 집단은 정규직을 유지한 집단보다 자살 생각을 할 확률이 2.07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울증을 겪는 비율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규모로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비정규직으로의 고용형태 변화와 자살생각이라는 두 사건 간 인과관계를 분석할 때, 주로 쓰이는 통계기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이 아니라 머신러닝을 활용했습니다.

고용형태 변화가 자살생각 등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연구는 처음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이어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두고 주로 비즈니스 분야에서 기업의 수익 등을 연구하는 데 쓰이던 머신러닝 기술이 사회적 약자의 건강 문제를 탐구하는 데에 활용된 사례를 제공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최혜원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befavoriteone@gmail.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