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방의회 부패·갑질 아직도 여전…8곳이 '청렴도 최하등급'
입력 2024-01-04 19:00  | 수정 2024-01-04 21:36
【 앵커멘트 】
허식 인천시의회 의장의 이같은 막말은 어떤 배경에서 나오는 걸까요?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방의회의 청렴도를 전수조사한 결과를 처음 공개했는데, 상식 이하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어서 김민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경기도의회 부의장단이 지난 2021년 '자치분권 기대해 챌린지'에 동참하며 공개한 사진입니다.

지방자치법이 전면개정돼 시행되면서 책임성과 투명성도 강화됐다며 자축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공개한 지난해 지방의회 92개의 종합청렴도 평가를 보니 기대와 어긋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 인터뷰 : 정승윤 /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 "2023년도 지방의회 종합청렴도는 100점 만점에 68.5점으로 이는 지난달 28일 발표드린 행정기관과 공직 유관단체의 종합청렴도 점수인 80.5점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종합청렴도는 설문조사 점수인 청렴체감도와 부패방지 노력 점수인 청렴노력도를 더한 값입니다.

권익위는 개별 점수 대신 등급을 만들어서 공개했는데, 4등급과 5등급이 부패 기관으로 평가받습니다.


▶ 인터뷰 : 김민수 / 기자
- "서울시의회는 청렴체감도와 청렴노력도 모두 4등급을 기록해서 종합청렴도 역시 4등급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종합청렴도가 4등급 이하 지방의회는 28개로 나타났고, 특히 경기도의회와 강원도의회 등 8개 지방의회는 5등급을 받아 평균을 크게 깎아먹었습니다.

지방의회는 청렴체감도 설문조사 항목 중에서도 부패경험률이 15.51%를 보였는데, 2%도 안 되는 다른 공공기관을 압도하는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시민들은 놀랍지도 않다는 반응이었습니다.

▶ 인터뷰 : 배재희 / 서울 인헌동
- "지역적으로 외곽에 있다보니까 그들만의 뭔가 인프라가 구축돼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권익위는 지방의회 반부패 특별 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N뉴스 김민수입니다.
[ smiledream@mk.co.kr ]

영상취재 : 구민회 기자 김현우 기자
영상편집 : 송지영
그 래 픽 : 송지수

#MBN #지방의회 #종합청렴도평가 #국민권익위원회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