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일제 피해자 명예회복 헌신, 고 이금주 회장 발자취 재조명
입력 2023-12-14 16:47  | 수정 2023-12-14 16:58
출판기념회 포스터 / 사진=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제공
17일 광주 전일빌딩245, 평전 '어디에도 없는 나라' 출판기념회 개최

강제동원 피해 배상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가운데 일제 당시 피해자들의 권리 회복을 위해 걸어 온 고 이금주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장의 발자취를 재조명하는 행사가 열립니다.

사단법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오는 17일 오후 2시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 9층 다목적 강당에서 고 이금주 회장의 일대기를 담은 평전 '어디에도 없는 나라' 출판기념회를 엽니다.

배우 지정남 씨의 사회로 진행되는 이날 출판기념회에서는 1988년 태평양전쟁희생자광주유족회 결성을 시작으로 30여 년 일본의 전쟁범죄를 고발하고,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에 앞장서 온 고인의 활동을 돌아봅니다. 또 '역사정의시민모금' 등 올 한 해 투쟁 활동 과정을 돌아보고, 향후 투쟁을 함께 결의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행사는 추모 공연, 영상 상영, 최봉태 변호사의 회고 대담과 함께 독후감 대회 시상식 등으로 꾸며집니다.


이날 출판기념회는 이금주 회장의 유족 김보나씨를 비롯해 오랫동안 고인과 인연을 가져 온 일본 지원단체 '나고야 미쓰비시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소송을 지원하는 회' 다카하시 마코토 공동대표, 재일교포 이양수씨도 참석할 예정입니다. 또 정부의 제3자 변제를 반대하며 판결금 수령을 거부하고 있는 강제동원 피해자 이춘식 할아버지, 양금덕 할머니의 가족들도 함께해 의미를 더할 예정입니다.

출판기념회에 맞춰 개최한 제1회 독후감 대회에는 10대에서 60대까지 전국에서 22편의 글이 접수됐으며, 최고상인 이금주상 수상자에는 상금 50만원이 주어집니다.

고인의 삶과 이야기를 담은 창작 오페라도 처음 선보일 예정입니다. 오는 27일 오후 7시 30분 광주예술의전당 소극장에서는 창작 오페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연이 펼쳐져, 고난과 좌절속에서도 인권운동의 꽃을 피워낸 고인의 발자취를 음악으로 꾸며 다시 한번 감동의 무대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금주 평전 '어디에도 없는 나라' / 자료=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제공

올해 초 발간된 평전 '어디에도 없는 나라'는 이금주 회장이 외롭게 부딪히며 맞서야 했던 고뇌와 투쟁이 담담히 풀어져 있습니다.

1920년 평안남도 순천에서 출생한 이금주 회장은 결혼 2년 만에 일제에 의해 사랑하는 남편을 빼앗겨야 했습니다. 남태평양 타라와섬에 끌려간 남편은 미군과의 전투에서 1943년 11월 25일 사망했지만 아직 유골조차 못 찾고 있습니다.

1988년 태평양전쟁희생자광주유족회를 결성한 이금주 회장은 1992년 '광주천인소송'을 시작으로 일본 정부와 일본 기업을 상대로 7건의 소송을 제기해 일제강제동원 문제를 한일 간 이슈로 끌어내는 등 평생을 일제 피해자의 인권회복을 위해 앞장서 왔습니다.

법정 진술, 시위, 일본 지원단체와 교류 등으로 노구를 이끌고 일본을 오간 것만 80여 차례가 넘었지만, 일본 법정에서는 번번히 쓴맛을 봐야 했습니다. 일한회담 문서 공개 소송을 제외하고 그동안 일본 법정에서 '기각' 당한 것만 17차례에 이릅니다.

특히 요즘처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도 없는 시대에, 이금주 회장은 피해자들을 찾아다니며 피해자들의 억울한 사연을 일일이 일기와 기록으로 남겼습니다. 볼펜으로 한 자 한 자 메모한 자료는 일본 소송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었고, 일본의 만행을 고발하는 역사적 기록물이 되었습니다.
광주유족회 월례회를 기록한 제1차 회의록 (1992.1.10.) / 사진=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제공

이금주 회장은 1992년부터 2011년까지 20년간 총 229차례 매월 10일 유족회 주요 임원들과 함께 정기적인 광주유족회 월례회(의)를 가졌는데, 이날 출판기념회에서는 아직까지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던 제1차 회의록(1992.1.10.)과 광주유족회 마지막 회의록인 229차 회의록(2011.4.10.) 내용도 처음 소개할 예정입니다.

이 회장은 일제 피해자들의 인권을 위해 헌신해 온 공로를 인정받아 2019년 '대한민국 인권상'과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으며, 2021년 12월 12일 끝내 일본의 사죄 한마디를 듣지 못한 채 102세를 일기로 한 많은 삶을 마쳤습니다.

[정치훈 기자 pressjeong@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