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중 7개 항목서 '위험' 수준…상담받거나 도움 요청하는 경우 절반도 안 돼
정부가 처음으로 공무원 감정노동 수준의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정상 범위를 벗어난 '위험'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사혁신처는 중앙행정기관 소속 공무원 1만98명을 대상으로 '공무원의 직무수행 관련 감정노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8개 중 하나를 제외하고 '위험' 수준이 나왔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진=인사혁신처 제공
감정노동 원인으로는 장시간 응대·무리한 요구로 업무 방해(31.7%), 폭언·협박(29.3%), 보복성 행정제보·신고(20.5%) 등이 꼽혔습니다.
감정노동에 따른 영향에서는 직무스트레스 증가 및 자존감 하락(33.5%), 업무 몰입·효율성 저해(27.1%) 등이 언급됐습니다.
감정노동 대응 방법으로는 공무원 약 절반(46.2%)이 개인적으로 참아서 해결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변 동료에게 상담하는 경우는 21.5%, 상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는 16.4%에 그쳤습니다.
감정노동이 신체·심리적 질병으로 번지는 경우에는 아무 조치를 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1.1%를 차지했습니다. 병가를 사용하거나 전문 심리상담을 받는 공무원은 각각 11.3%, 8.4%에 그쳤습니다.
인사처는 "민원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관계기관과 협업해 심리적 고위험군에 대한 치료 지원, 기관 차원의 법적보호 강화, 건강 검진비 지원 확대 등 보다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김혜균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catfis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