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영유아기에 사랑 많이 못 받으면 스트레스에 더 취약할 수 있다"
입력 2023-10-31 16:04  | 수정 2023-10-31 16:32
한국뇌연구원 정서·인지질환 연구그룹 연구팀의 김정연 박사(책임연구원, 사진 왼쪽)와 강미선 박사후 연수연구원. / 사진 = 한국뇌연구원 제공
스트레스 신경생물학(Neurobiology of Stress) 최신호에 게재

영유아 때 부모로부터 적절한 보살핌이나 사랑을 받지 못하면 청소년기 이후 받는 스트레스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뇌연구원 정서·인지질환 연구그룹의 김정연 박사 연구팀은 스트레스 취약 정도에 따라 뇌의 '외측 고삐핵' 영역에서 신경세포가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고 오늘(31일) 밝혔습니다.

외측 고삐핵은 뇌의 시상상부에 위치한 영역입니다.

영‧유아기 양육결핍에 의한 뇌기능 손상 연구에서 최근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기능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생애 초기에 양육 결핍 스트레스에 노출된 쥐가 청소년기에 보이는 우울증 행동을 조사하고, 스트레스에 취약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분류했습니다.


각 그룹의 뇌를 전기생리학 기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에 취약한 쥐는 정상쥐와 달리 외측 고삐핵에서 신경세포의 연결부위인 시냅스의 반응이 과도하게 커지고 가소성(적응할 수 있는 능력)도 손상됐습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고삐핵이 과활성화되고 시냅스가 약화되는 현상이 스트레스 취약 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에 취약한 쥐는 외측 고삐핵에서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와 NMDA 수용체가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약물을 처리해 고삐핵 시냅스 외부 영역의 NMDA 수용체를 활성화하자, 스트레스에 취약한 쥐는 시냅스 외부영역의 장기약화 현상이 정상쥐보다 더 많이 유도됐다고 합니다.

시냅스 외부영역은 고삐핵 활성을 낮출 수 있는 영역으로, 이 영역이 약화되면 스트레스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스트레스에 노출될 때 분비되는 호르몬이 기존에 알려진 글루코코리티코이드 수용체가 아니라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일 수 있으며, 이 수용체가 시냅스 약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도 전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새로운 항우울제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기대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스트레스 신경생물학(Neurobiology of Stress) 최신호에 게재됐습니다. 한국뇌연구원 강미선 연수연구원이 제1 저자로 참여했습니다.

[김혜균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catfish@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