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김치는 파오차이, 윤동주는 중국 애국시인…한국학중앙연구원의 왜곡 설명
입력 2023-10-13 11:11  | 수정 2023-10-13 11:13
김치의 중국어 표기가 '泡菜'(파오차이)라고 적혀있다. / 사진=세계한민족문화대전 홈페이지 캡처
교육부 산하 연구개발(R&D) 기관, 한국 문화를 중국식으로 설명해
한국학중앙연구원, 매년 300억 넘는 정부출연금으로 '한국 바로 알리기' 사업해
교육부 산하 연구개발(R&D) 기관인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한복은 '조선족 옷' 등으로 표기해 한국 문화를 왜곡해서 설명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오늘(1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편찬한 '세계한민족문화대전' 등에 한국 문화를 중국식으로 설명한 부분이 눈에 띈다고 밝혔습니다.


세계한민족문화대전에는 김치의 중국어 표기를 '泡菜'(파오차이)로 하고, 김치를 '소금에 절인 배추나 무 따위를 양념에 버무린 뒤 발효를 시켜 만드는 조선족 음식'이라고 정의했습니다.

2021년 7월 문화체육관광부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을 개정해 공공기관에서 김치의 중국어 표기를 ‘辛奇(신치)로 의무화한 바 있어, 사실상 이를 위반한 것입니다.

설빔의 설명. / 사진=세계한민족문화대전 홈페이지 캡처

'설빔'의 경우, 그 형태가 전통 한복이라고 설명하며 '조선족이 설 명절에 차려입는 새 옷'이라고 정의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명동촌'을 검색한 결과. / 사진=세계한민족문화대전 홈페이지 캡처

한편 네이버·다음 등 대형 포털사이트 백과사전과 연동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시인 윤동주의 고향인 '명동촌'에 대해서는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 윤동주의 생가'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단장되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경희 의원실은 매년 300억 원이 넘는 정부출연금으로 '한국 바로 알리기' 등의 사업을 하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중국의 왜곡된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여 한국 문화를 설명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정 의원은 "혈세로 운영되는 한국학 최고 연구기관이 중국의 문화공정에 동조하고 있다"라며 "즉시 시정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최혜원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befavoriteone@gmail.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