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난 해만 2만명 넘게 자퇴…수능 2번 볼 수 있다고?
입력 2023-10-09 14:10  | 수정 2023-10-09 14:56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이 없음/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퇴, 정시 집중을 위한 전략적 선택인 것"


최근 3년 새 고등학교 자퇴생 수가 매년 상승하는 가운데 대입 정시 확대와 내신 절대평가 확대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준비를 위해 학교를 그만두는 사례가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오늘(9일) 교육부의 2019~2022년 교육정보통계(EDS)상 고등학생 자퇴생(학업중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만 3440명의 학생들이 학교를 그만뒀습니다.

2019년 2만 4068명에 이르던 자퇴생 규모는 코로나19 유행으로 개학이 연기되고 원격수업이 운영된 2020년 1만 5163명으로 급감했지만 이후 2021년 1만 9467명, 2022년 2만 3440명으로 계속 증가했습니다.

최근 4년간 고교 자퇴생의 절반 이상은 1학년이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었습니다.


지난해 1학년 고교 자퇴생은 1만 2078명(51.5%)으로 과반수를 차지했고 2학년 9271명(39.6%), 3학년 2091명(8.9%)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종로학원이 대학정보공시 '대학알리미' 자료를 토대로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검정고시 출신 입학생 비율을 분석해 보니 2019년부터 매년 0.7%→0.9%→1.1%→1.2%→1.3% 순으로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전국 4년제 대학으로 넓혀 분석하니 검정고시 출신 입학생 수가 2019년 4521명에서 올해 7690명으로 70.1% 증가했습니다.

서울대 등 주요 대학 16곳은 지난 2023학년도 입시부터 정시 인원을 40% 이상 충족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시는 대입 공정성 강화 방안(2019년)을 통해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 영역(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반영 비중과 방식이 매년 축소됐고, 올해 고3이 치르는 대입부터는 자기소개서도 아예 폐지됐습니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검정고시를 응시하려면 자퇴 후 6개월이 지나야 가능하다"며 "내신이 안 좋으면 고1 2학기 때 자퇴하고 이듬해 4월에 검정고시에 합격한 뒤 그 해부터 수능을 치러 성적이 좋으면 진학하고 아니면 한 번의 기회가 더 주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교육 당국의 제도적 보완과 공교육의 정상화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신소영 정책팀장도 "2021년 하반기부터 위드 코로나 기조로 학교 수업 정상화를 추진한 가운데 정시 집중을 위한 전략적 선택에 따라 자퇴생이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장나영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angnayoungny@gmail.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