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뒤 대한민국 인구 4000만 명
'인구의 날'인 오늘(11일) 통계청이 내놓은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생산연령인구의 핵심층인 25~49세 한국 남성의 절반 가량은 결혼 경험이 없는 독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20년 기준 25~49세 인구 가운데 남성은 47.1%, 여성은 32.9%가 결혼 경험이 없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남자 중 미혼인 사람의 비율은 지난 2010년 35.3%에서 2015년 40.2%로 증가하더니 2020년에는 47.1%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여성 미혼 비중 역시 2010년 22.6%에서 2015년 27.1%, 2020년에는 32.9%로 늘었습니다.
실제 결혼 건수도 지난해 19만 2,000건으로 지난 1970년보다 10만 3,000건 줄어들었습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세, 여자가 31.3세로 나타났습니다.
출생아 수도 덩달아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 9,000명으로 10년 전인 2012년 48만 5,000명의 절반 수준입니다. 합계 출산율은 지난해 0.78명으로 감소했습니다. 한 여성이 가임 기간 동안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가 채 1명이 안 된다는 뜻입니다.
한편, 우리나라 인구는 2023년 현재 5,200만 명에서 2041년 4,000만 명대에 진입하며 2070년에는 3800만 명 수준으로 급감한다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이와 달리 2023년 현재 80억 5,000만 명인 세계 인구는 2070년에 103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 감소와 고령 인구 증가도 세계 인구 추세보다 심각합니다. 2023년부터 2070년까지 세계의 생산연령인구가 3.6%p(포인트) 줄어드는 반면, 우리나라는 24.4%p나 감소합니다. 또 세계의 고령 인구가 10.1%p 늘어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28%p 증가할 예정입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